예로부터 선조들이 꼽은 신체의 다섯 가지 복 중 하나이자 근원을 ‘치아 건강’으로 꼽았습니다. 그만큼 삶의 질을 좌우하는 요소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백세시대를 살아가는 지금은 노년기 건강을 위해서도 중요한 요소인데요. 나이가 들수록 무너지고 망가지는 치아 수명, 튼튼한 잇몸을 어떻게 지킬지 경북대학교치과병원 치주과 전문의 이재목 교수와 알아봅니다.
[시민]
교수님 치열이 고르지 않으면 치주염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데 사실인가요?
[이재목 치주과 교수]
네, 치열이 고르지 않고 특히 부정교합이 있으신 분들은 치아 사이에 있는 세균의 서식지를 청소하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그래서 치간 칫솔이나 치실을 사용하기가 굉장히 어려워지는 상황이 되고 육류나 초콜릿처럼 치아 부착이 강한 음식들은 제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충치나 치주질환의 유발 인자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김혁 리포터]
이번에는 치아 건강에 관한 시청자 사연들을 모아봤습니다. 교수님 치아 건강 하나만큼은 자신 있어 하는 60대 여성의 사연입니다. 최근에 양치하거나 외부 온도가 좀 낮아지면 이가 시리고 통증을 좀 느끼나 봐요. 치과에서는 충치가 없다고 했대요. 그런데 어떠한 이유로 이런 증상이 생기는지 너무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이재목 치주과 교수]
연령을 봐서 치아 자체의 크랙이라고도 이야기하는데, 미세한 금들이 많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찬 것이나 뜨거운 것에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고요.
또 치아와 뿌리 사이에 그 치경부 쪽의 마모가 심해서 또는 교모가 심해서 칫솔질할 때나 냉수가 들어갈 때는 시린 반응을 나타낼 수 있고요.
또 치주병이 있는 분들은 치근이 노출이 돼 있기 때문에 시린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임상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사진상으로도 잘 나타나지 않아서 좀 더 정밀 검사를 해야 파악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김혁 리포터]
이번 사연은 크라운 치료를 예정 중인 40대 여성의 사연입니다. 상악과 하악에 6개 정도를 크라운 치료한다고 그래요. 주변에서 크라운을 씌우는 게 많으면 치주염이 걸리니까 하지 말라고 자꾸 이야기하는 모양입니다.
[이재목 치주과 교수]
그런데 어쩔 수 없이 크라운을 할 것으로 생각하는데요. 어쨌든 우리 구강 내에는 아마 외부 장치가 있으면 그것을 매개로 해서 세균들의 서식지가 됩니다.
그리고 거기에서 치태가 형성되고 또 치석도 동반되기 때문에 보철물을 하게 되면 일단은 치주염을 굉장히 조심해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하시고 정기적인 치주 치료와 세균 관리를 통해서 보철물과 치아를 오래 쓸 수 있도록 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김혁 리포터]
이번 사연은 40대 주부의 사연입니다. 작년 초에 발치했고 임플란트를 해야 하는데 여러 사정으로 인해서 1년이 지났습니다. 너무 늦은 건 아닌지, 못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대단히 많습니다.
[이재목 치주과 교수]
일단 지금으로 봐서는 여러 가지 임상적인 검사, 방사선 검사 이런 것을 통해서 재검사가 필요할 것 같고요. 지금 좀 늦었지만, 또 충분히 가능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다른 최첨단 의료 기술을 통해서 보강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일단은 빨리 재검사를 통해서 시도는 해볼 수 있다, 그렇게 답을 드릴 수 있겠습니다.
(구성 우승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