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긋지긋'이라는 단어 뒤에 붙는 질환이기도 한 두통은 매우 익숙한 질병입니다. 두통약은 집에서 상비 약품으로는 물론, 소지하고 다니는 분들도 상당한데요. 흔한 질병이지만, 일상생활에 지장이 크다면 단순히 약으로 넘어가지 말고 반드시 병원으로 향해야 합니다. 가볍게 볼 수 없는 질환 두통에 대해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신경과 이형 교수와 알아봅니다.
[김혁]
생활 속에서 누구나 겪는 만성 질환 두통. 오늘은 '질문 있습니다'를 통해서 두통에 대한 오해와 진실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생님 머리가 아프다, 두통이 심하다 하면 많은 사람이 성격의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정말로 성격이 예민하신 분들이 두통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는가요?
[이형 신경과 전문의]
그것이 일종의 두통에 대한 사회적인 어떤 잘못된 인식, 편견이에요. 그래서 흔히 ‘너는 성격이 예민해서 그것도 못 참는데 나도 머리 아픈데 난 잘 참고 있다', 멘탈이 약해’, ‘참아야지’, ‘정신력이…’. 그렇게 말하지만 실제 편두통 환자에게 그 두통은 일상생활에 장애를 줄 만한 심각한 강도의 두통이에요. 그걸 몰라주고 직장에서도 그걸 모르고 심지어 같이 사는 남편조차 몰라서 그 서운함과 섭섭함, 분노, 또 이런 두통으로 인해서 내가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으니까 거기서 느끼는 자괴감, ‘나는 왜 이럴까?’ 전체적으로 그런 것들이 편두통 환자에 있어서 상당히 문제가 되는데 그거를 단순히 ‘성격이 예민하니, 멘탈이 약하니, 정신력이 부족하니’ 그렇게 말하는 것 자체가 편두통 환자를 더욱더 힘들게 하는 거죠.
사회적 편견이 많고 편두통은 15세에서 49세 여성에서 일상생활에 장애를 주는 1등 질환입니다. 편두통은 만성적인 뇌 질환으로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심지어 같이 사는 남편조차 몰라서 제 외래에서 눈물을 뚝뚝 흘리면서 의사에게 ‘의사 선생님밖에는 모른다’ 해서 제가 늘 하는 말이 있어요. 편두통 진단은 MRI나 CT가 중요한 게 아니고 그 고통받는 환자의 고통에 대해서 의사가 얼마나 공감할 수 있는 공감 능력이 있다. 즉 편두통을 진단한다는 것은 의사와 환자의 소통을 통해서 과학적 근거로 알아내는 소통 예술이에요. 그만큼 편두통은 많이 힘들고 두통에 대한 잘못된 사회적인 선입견은 참 안타까운 일이죠.
[김혁]
두통이 심한데 게다가 뭐 ‘너 성격이 그렇다’ 하는 거는 더 힘들게 하는 거네요.
[이형 신경과 전문의]
힘들죠.
[김혁]
밤낮으로 일교차가 큰 날씨를 경험하게 되면 두통이 오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혹시 겨울철에 두통이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까?
[이형 신경과 전문의]
일교차, 날씨의 변화에 민감한 게 편두통입니다. 편두통은 기본적으로 이 변화에 민감한 거예요. 이 변화라는 것은 개인 인체 내부의 변화와 외부 환경의 변화가 있죠. 외부 환경의 변화에 가장 중요한 게 날씨예요. 습도, 기온, 기압. 어떤 분들은 꼭 추운 겨울에만 두통이 옵니다. 어떤 분들은 또 날씨가 더운 날에만 두통이 옵니다. 개개인의 체질에 따라서 날씨의 변화에 민감하고 편두통이 없는 분들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데 편두통 환자에게는 날씨의 변화가 민감한 데를 자극해서 두통의 문턱을 줄이는 겁니다. 그래서 날씨 변화에 따라 두통이 온다면 그분 대부분 편두통이에요.
[김혁]
그렇게 좀 인식할 필요가 있겠군요.
(구성 진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