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MBC NEWS대구MBC NEWSDESK대구MBC NEWSDESK, TODAY 리포트 대구MBC 사회환경지역대구MBC 뉴스데스크 사회대구MBC 뉴스투데이 사회

"남세균 독소 특성상 '총합 검사'로 자주 검사해야"

◀앵커▶
2022년 7월 대구 주요 정수장의 정수에서 남세균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었다는 대구MBC의 보도는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검출량이 미량으로 미국 환경보호국의  기준치 이내이긴 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었기 때문인데요.

마이크로시스틴 허용 기준치가  나라마다 다르고, 조사 방법도 차이가 나서  혼란스러운 것 또한 사실입니다.

앞으로, 우리가 녹조 독소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것이 좋을지 심병철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대구MBC는 지난 7월21일 대구시 주요 정수장 3곳의 정수를 부경대학교 이승준 교수에게 의뢰해 총 마이크로시스틴 검사 방식의 일라이자 검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남세균이 만드는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0.281ppb에서 0.226ppb가 검출됐습니다.

대구시와 환경부는 총합 검사 방식이 아닌 LC/MSMS 검사에서는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다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LC/MSMS 검사법은 마이크로시스틴 LR 등 주요 4개 항목만 찾는 방법으로 한계가 있다고 학계는 보고 있습니다.

◀이승준 교수 부경대학교▶
"마이크로시스틴 LR, RR 이외의 물질들, 200종이 넘는 마이크로시스틴들은 여전히 독성을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총 마이크로시스틴으로 기준의 변환이 필요하지 않나라고 생각합니다."

총합 검사법은 미국과 독일,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들이 채택한 방식으로 모든 마이크로시스틴을 찾아낼 수 있어 독성 검사에는 효과적입니다.

WHO도 이런 점을 인정해 마이크로시스틴 LR 기준치만 두던 기존 가이드라인을 개선해 2021년부터 마이크로시스틴 총합 방식으로 바꿨습니다.

결국, 국립환경과학원도 총합 방식의 일라이자 검사법을 도입할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수형 상하수도연구과장 국립환경과학원▶
"일단 모니터링을 지금 각 정수장별로 다 지금 수집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걸 분석을 해서 필요하면 거기도 확대하는 쪽으로도 저희가 검토를 지금 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남세균이 죽으면서 밖으로 빠져나오며, 특성상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한꺼번에 많은 양이 배출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조류경보가 발령될 때 단계별로 1주일에 1회~ 3회 검사하고 있는데 더 자주 검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지 블러잔 교수 미국 볼링그린 주립대학교 생물학과▶
"바이러스나 균 등으로 인한 대규모의 녹조 용해가 일어날 수 있고 그 단계에서 독소가 정수장으로 바로 방출되는데 이렇게 되면 독소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화학 처리가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일 측정하지 않는다면 독소들을 놓칠 수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남세균 독소 문제는 세계적으로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낙동강은 2022년에도 녹조현상으로 몸살을 앓았고 2023년에도 사정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녹조 독소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서는 주요 선진국에서 인정하고 있는 일라이자 검사법의 도입과 녹조의 특성을 감안한 더 빈번한 검사, 보다 보수적이고 엄격한 관리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고도 시급해 보입니다.

MBC 뉴스 심병철입니다. (영상취재 마승락, CG 김현주)

심병철

추천 뉴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