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어긋나는 눈동자, '사시'는 외관상의 아쉬움도 있지만 기능적인 장애도 불러올 수 있는데요. 사시 때문에 고민이신 분은 심리적으로 위축되기도 합니다. 소아 사시 환자를 둔 부모님들은 걱정도 크죠. 이와 같은 사시에 대한 고민과 해결책, 안과전문의 대구가톨릭대학교 병원 이동훈 교수와 알아봅니다.
[윤윤선 MC]
지금부터는 사시의 진단과 치료법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시가 일단 의심돼서 안과를 찾는다면 어떤 검사부터 들어가나요.
[안과 전문의 이동훈 교수]
네. 사시가 의심이 되거나 사시 검사를 원하셔서 오시는 환자분들은 기본적으로 많은 검사를 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사시뿐만 아니고 다른 눈 자체의 구조적인 이상으로 인해서 사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눈 자체의 구조적인 이상이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안과에 오시면 기본적으로 하게 되는 세극 현미경 검사, 그다음에 안저 검사 뒤에 신경 쪽에 문제가 있는지를 보는 검사, 그다음에 원시, 근시, 난시와 같은 굴절 이상이 있는지를 먼저 보는 검사도 하게 되고, 이 어린이의 기능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기 위해서 시력 검사는 당연히 시행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사시각 검사라는 것은 사시가 있는지를 보는 것이고 한눈 한눈을 교대로 가려가면서 눈 위치가 움직이는지 이런 검사를 통해서 사시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약에 있다면 프리즘을 이용해서 어느 정도 사시 편위각이 있는지 각을 측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더불어서 사시가 있는 어린이들은 한 눈이 억제되거나 입체감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어떤 입체질을 검사하는 시표 혹은 책을 보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 이 어린이가 혹은 환자가 입체시의 심도를 느끼는지 혹은 복시가 있는지 한눈을 잘 안 쓰고 있는 것은 아닌지 검사하는 감각 기능 검사도 시행하게 됩니다.
[윤윤선 MC]
앞서서 이야기해 주신 것 중에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게 간헐 외사시라고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말씀 그대로 간헐적이다. 그러니까 좀 피곤하거나 어떤 그럴 때만 사시 기운이 있는 거기 때문에 이게 굳이 치료가 필요할까 이렇게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 것 같은데 어떤 경우에 치료를 해야 하는지 또 치료를 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진행이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안과 전문의 이동훈 교수]
말씀하신 대로 간헐적으로만 사시가 보이기 때문에 모든 환자에게서 적극적인 치료를 권하지는 않고요. 그리고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도 당연히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경우인데요. 제일 그냥 기본적으로 사시 표시가 많이 나서 심리적으로 위축이 되거나 눈 맞춤이 힘든 경우는 당연히 치료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고 치료 때마다 사시각이 계속 증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또 마지막으로 세 가지 정도는 기능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 시력이 떨어져 있다든지 두 눈을 뜨고 있지만 한 눈을 잘 쓰고 있지 않는다든지 3D 영화를 볼 때 입체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과 같은 기능적인 문제가 있을 때는 치료를 권유드리고 계획하게 됩니다. 그리고 치료의 목적은 제일 눈에 궁극적인 목적인 정상 시력을 발달하는 것이고 입체시를 획득해서 두 눈을 잘 쓰도록 하는 것 세 번째로 무엇보다도 사회생활 할 때 안구 위치를 정상으로 해서 외형적으로 모양을 좋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치료 방법은 비수술적으로 되지 않나요? 라고 묻는 보호자나 환자분들도 계셔서 설명을 드리고자 하는데 시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의 가림 치료 외에도 두 눈을 잘 쓰도록 하는 가림 치료를 약한 시간으로 적정 시간 가림을 해서 잘 쓰지 않는 눈을 잘 쓰도록 하는 융합력을 높이는 목적으로 가림 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지만 그것 자체가 사시각 자체를 없앨 수는 없기 때문에 간헐 외사시 자체를 치료하는 데는 약간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대부분이 수술적 치료를 생각하게 됩니다. 그리고 수술은 간단히 설명을 드리면 눈을 움직이도록 하는 근육이 한 눈당 여섯 개의 근육이 있는데요. 어떤 근육을 얼마만큼 위치를 조정하거나 절제를 해서 할지는 환자들마다 다르고 근육의 위치와 길이를 선택을 해서 조정을 하면 바깥으로 나가는 기능을 하는 기능을 조금 약하게 하고 안으로 보내도록 하는 근육을 좀 더 강화시키는 쪽으로 방향을 잡아주면 눈동자가 제자리에 정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이 수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구성 이수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