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MBC NEWS대구MBC NEWSDESK대구MBC NEWSDESK, TODAY 리포트 대구MBC 사회환경사회 일반지역대구MBC 뉴스데스크 사회대구MBC 뉴스투데이 사회

[단독] 안동댐 '퇴적 중금속' 심각···"대구 취수원으로 부적합" 논란

◀앵커▶
대구시는 취수원을 안동댐으로 이전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안동댐의 호수 바닥에는 인체에 유해한 카드뮴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쌓여 있는 사실이 취재 결과 확인되었습니다.

식수로서 안전하다는 대구시의 주장과는 다른 건데요.

대구 시민의 식수원으로 적합하냐는 논란이 커질 수밖애 없습니다.

심병철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대에도 대구시는 취수원을 안동댐으로 옮기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안동댐 물이 낙동강 물보다 수질이 더 좋아서 식수로서 적합하다는 게 이유입니다.

◀홍준표 대구시장(2024년 7월 15일)▶
"구미 공업단지가 들어오고 안동댐이 들어오고 물 흐름이 멈춰지면서 낙동강 물이 썩기 시작했다고요."

대구시는 2022년 8월 안동댐 수질 검사에서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았다며 깨끗한 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대구시의 주장은 안동댐 호수 바닥에 쌓인 중금속 수치가 아니어서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바닥이 아닌 물에 중금속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호수 바닥에 많은 양의 중금속이 퇴적될 경우 위험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호수 바닥이 뒤집히는 등의 변화가 생기면 퇴적된 카드뮴이 바닥 위로 떠오르기 때문입니다.

◀김영훈 국립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먹는 물 수질 기준을 초과할 정도는 아닌 환경 조건이 바뀌거나 어떤 상황이 바뀌면 기후도 변하고 하는데 퇴적물에서 녹아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안동댐의 퇴적된 카드뮴의 양은 어느 정도일까?

환경부 낙동강물환경연구소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안동댐 3개 지점에서 해마다 한 차례씩 퇴적물을 검사했습니다.

검사 결과, 안동댐 3개 지점 모두 카드뮴 수치가 평균 1kg에 6.79~8.5 mg으로 최악의 수질 단계인 4단계 기준치 6.09를 넘어섰습니다.

4단계는 바닥에 사는 수중 생물인 저서생물에 독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수준을 말합니다.

◀김영훈 국립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저서생물도 생물이고 그 저서생물에 영향을 미치면 사람한테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죠."

카드뮴이 들어 있는 물을 마시거나 농업용수로 사용하면 이타이이타이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의대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 말 일본에서 아연을 제련할 때 나온 카드뮴을 강에 버리는 바람에 백 명 넘게 숨졌습니다.

안동댐 상류에 있는 영풍제련소가 카드뮴 유출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고 안동시조차도 안동댐 물을 식수원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태규 낙동강사랑환경보존회장▶
"카드뮴은 하루에 22kg을 낙동강으로 보냈으니까 1년이면 8천 kg를 보냈고 10년이면 8만 kg이 낙동강에 진을 치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물체들이 살아갑니까?"

시민·사회단체들은 대구시가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실 관계를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천문학적인 비용도 논란거리입니다.

대구 시민들이 마시는 물을 안동댐에서 가지고 오려면 100km가 넘는 도수관로를 건설해야 하는데 적게 잡아도 2조 원이 넘는 예산이 필요합니다.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의장▶
"더 이상 안동댐의 물을 관로를 통해서 보내는 이러한 작태를 하지 말고 미친 짓입니다. 그리고 2조 원을 들여서 낙동강을 안전하게 개선하는 것이야말로 기후 위기 시대를 대비하는 것이고 "

시민·사회단체들은 천문학적인 예산을 낭비하면서 시민 건강까지 위협하는 대구시의 취수원 이전 사업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면서 사업 중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MBC 뉴스 심병철입니다. (영상취재 윤종희, 그래픽 이수현)

심병철

추천 뉴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