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MBC NEWS대구MBC 사회환경지역심층보도

[심층] 참다못한 시민·학계가 나섰다···낙동강 전 구역 녹조 분석


◀앵커▶
대구 수돗물에서 녹조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돼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시민단체와 학계가 현장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8월 4일부터 사흘 동안 부산에서부터 영주까지, 낙동강 전 구역을 훑는다고 합니다.

양관희 기자와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양기자, 이번 조사를 '국민 체감 현장 조사'라고 이름 붙였던데 이유가 있나요?

◀기자▶
대한하천학회와 시민단체인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 그리고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4일부터 사흘 동안 부산 낙동강 하굿둑에서부터 경북 영주댐까지 낙동강 전 구역에서 물과 흙을 수거한 뒤 녹조 독소 농도를 분석합니다.

이들은 이번 조사를 '국민 체감 녹조 현장 조사'라고 이름 붙였는데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녹조 독소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국민이 위험을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겁니다.

지금까지 정부 녹조 측정 데이터는 실제 녹조 독소 영향을 반영하기 어려운 구조라 국민 체감 녹조 조사라는 개념으로 추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강 가운데에서 수심별로 상중하를 혼합해 녹조를 분석하거나 실제 상수원 취수구와 수 킬로미터 떨어진 상류 지역에서 취수해 분석하고 있어 녹조 독소가 저평가된다고 비판했습니다.


◀앵커▶
이들은 지난 6월과 7월 낙동강 수변 지역에서 녹조 독소 분석도 하지 않았습니까?

결과가 어떻게 나왔나요?

◀기자▶
이들은 지난 6월 낙동강 18개 지점에서, 7월에는 13개 지점에서 물을 수거해 미국 환경보호청 측정 방법을 이용해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6월 경남 창원 본포 수변생태공원 마이크로시스틴 농도는 리터당 8,600마이크로그램으로 미국 환경보호청 물놀이 기준 8마이크로그램의 1,075배에 달했습니다.

6월 강정고령보 선착장 마이크로시스틴 농도는 리터당 445마이크로그램으로 미국 환경보호청 물놀이 기준의 56배였습니다.

조사에 나선 학회와 시민단체는 이런 낙동강 물가에서 사람들은 휴식을 취하고 보트를 타고 있다며 우려했습니다.


◀앵커▶
조사에 나선 이들은 정부가 녹조 문제를 외면하지 말고 대책을 내놓으라고 촉구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낙동강에서 접촉해선 안 되는 수준의 고농도 녹조 독소가 검출되고 먹거리인 쌀과 배추, 무 등 농산물에서도 녹조 독소가 나오고 이어서 수돗물에서도 녹소 독소가 검출됐다며 이 모든 일이 4대강 사업 이후에 생긴 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해외 국가들이 녹조 독소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마시는 물 등 관련 기준을 강화할 때 우리 정부는 녹조 독소가 저평가되도록 시스템을 설계했다고도 비판했는데요.

정부는 이제라도 환경재난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하고 긴급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조사에 나선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이자 대한하천학회장인 박창근 씨 말로 마무리해 볼까 하는데요. 

박 교수는 "지금 낙동강 수질은 4급수보다 더 나쁜 6급수 정도로 보입니다. 지금 공무원들은 시민들에게 이 물을 먹어도 이상이 없다고 합니다. 이게 과연 정부 정책이 펴는 공무원들이 해야 할 자세입니까"라고 말했습니다.

양관희

추천 뉴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