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MBC NEWS대구MBC NEWSDESK대구MBC NEWSDESK, TODAY 리포트 대구MBC 사회사회 일반지역대구MBC 뉴스데스크 사회대구MBC 뉴스투데이 사회

동네병원도 집단 휴진 예고···파국 치닫는 의정 갈등

◀앵커▶
의료계가 동네병원까지 진료를 중단하는 집단 휴진을 선언했습니다. 

의대 증원 절차를 중단하면 집단 행동을 멈추겠다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는 겁니다.

정부는 진료와 휴진 신고 명령을 내리겠다며 강경 방침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서울대병원을 중심으로 대형 병원의 휴진 움직임까지 나오는 등 의정 갈등이 파국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조재한 기자입니다. 

◀기자▶
의대 정원 확대가 확정 발표된 5월 30일 의료계는 전국 동시다발 촛불집회를 열었습니다.

대구에서만 천 명가량의 의사가 참여하며 정부 방침에 불만을 쏟아냈습니다.

의사협회는 총파업 투표를 거쳐 6월 18일 집단휴진과 함께 총궐기대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전공의 대부분이 떠난 상급종합병원 기능이 30~40% 수준으로 떨어진 가운데 의원급 동네 병원까지 정부 압박에 가세한 겁니다.

정부는 개원의에 대해 진료 명령과 휴진 신고 명령을 내리기로 했습니다.

집단 진료 거부 현실화에 대비해 비상 진료체계 강화 등 대책을 강구하겠다며 강경 방침을 분명히 했습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집단진료 거부는) 의사로서의 윤리적·직업적 책무를 져버리는 것입니다. 또한 엄연한 불법적 행위로써 의료의 공적 가치와 오랜 기간 쌓아온 의사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것으로써…"

2020년 8월 의료계 집단휴진 때는 대구 31%, 경북 49%의 동네 병의원이 참여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번 총파업 투표 참여율 63.3%, 휴진 등 단체행동 찬성률은 73.5%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전국 의대의 집단 휴진 움직임 등 정책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구 개원의▶
"(휴진 참여율이) 많이 할 때는 50%도 있었고 적을 때는 20%, 법적으로 사실 이거(진료 명령)는 (개원의는) 다 개인 자영업자이기 때문에 아무 의미 없습니다."

의대 정원 확대를 포함한 2025학년도 대입 전형이 확정 발표된 가운데 의료계는 총파업, 정부는 진료와 휴진 신고 명령 등 협상 없는 대치가 이어지면서 점점 파국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MBC 뉴스 조재한입니다. (영상취재 이승준)

조재한

추천 뉴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