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MBC NEWS대구MBC NEWSDESK 전체보기대구MBC NEWSTODAY안동‧포항MBC NEWS대구MBC 사회환경지역

산불 피해 현장 자연 복원 중···인공조림 정책 바꿔야

◀앵커▶
한 번 산불이 나면, 엄청난 예산을 들여 묘목을 다시 심고 인공적으로 복원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2년 전 안동에서 난 대형산불 피해 현장을 가봤더니, 놀라운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산불이 난 자리에 자연적으로 싹을 틔우고 뿌리를 내린 나무가, 인공 식재 나무 못지않게 잘 자라고 있었습니다.

산불 피해 복구 방향도 인공조림이 아닌 자연 복원 위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이도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20년 4월, 강풍을 타고 나흘간 이어졌던 안동 산불.

울창하던 숲 1,944ha가 순식간에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꼭 2년이 지나, 안동산불 현장을 다시 찾았습니다.

지지대 사이로 인공조림 한 나무가 사람 키만큼 꽤 자랐습니다.

그런데 인공조림목 사이 사이로 훨씬 더 풍성한 나무가 몇 그루씩 어우러져 자라나고 있습니다.

원래 이곳에서 서식하던 싸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같은 토종 수종입니다.

"스스로 자란 싸리나무가 인공적으로 복구를 위해 심은 이팝나무와 비슷한 크기로 자라나고 있습니다. 스스로 자연의 복원력을 증명해 보이는 겁니다."

안동시는 산불 피해지 복원을 위해 올봄까지 2년간 피해 면적 62%에 묘목 139만 그루를 심었습니다. 

인공조림에 든 예산은 74억 원, 앞으로 이만한 예산을 더 투입해야 합니다.

◀강성률 안동시 산림경영팀장▶
"먼저 생각하는 건 인공조림을 해서 추가적인 산불 피해지의 산사태 피해나 2차 피해가 발생은 안 되도록···"

수종도 문제입니다. 

산림청 복구 매뉴얼에는 피해지 주변의 향토수종, 피해지의 기후조건과 입지 조건이 유사한 지역에서 산출된 묘목, 산주의 소득을 증대하는 방향의 복구가 원칙이라 돼 있습니다. 

백두대간 구역인 경북 북부지역 일대에는 신갈·떡갈나무 같은 참나무류를 심어야 하지만, 안동 산불 피해지 복구에 쓰인 수종은 대부분 산벚나무, 이팝나무, 자작나무 같은 경관목입니다.

묘목은 양묘장에서 구입해서 쓰는데, 종자는 모두 산림청이 공급합니다.

그런데 산림청이 공급한 종자 중 향토 수종은 없습니다.

◀산림청 관계자▶
"여기서(경북에서) 없다고 했으니까 앞으로는 이런 거는 좀 개선해서 저희가 독려를···" 

산주들도 수종 선택에 불만이 많습니다.

◀백석열 안동 남후면 단호1리 이장(피해 산주)▶ 
"저희가 선택권이 없으니까···. 결국에는 (안동시) 산림과나 산림청에서 자기네들이 지역마다 딱 정해서···. 산주들이 이의제기했을 때 전혀 반영이 안 돼요."

쉽게 구할 수 있는 종자로 복원을 서두르다 보니 매뉴얼과도 맞지 않는 복원이 이뤄진 겁니다.

역대 최대 산불 피해를 기록한 지난달 울진, 삼척 산불 피해 복구계획을 보면 인공조림 면적이 만 3천여ha, 피해 산림의 83%나 됩니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 
"(불탄 나무를) 다 베어 버리고 또 나무를 심고 그 과정에 많은 인력과 행정력, 예산 낭비. 이런 것들을 고려한다면 이런 식(인공)으로 복구해야 하나···. 그건 아니라는 얘기죠."

기존 생태계도, 주민의 의견도 무시한 인공조림 복원이 행정 편의주의에 기대 무차별적으로 전국 산불 피해지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도은입니다. (영상취재 최재훈)

이도은

추천 뉴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