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학생이 갈수록 줄면서 통폐합하는 학교가 속출하고 있다는 보도, 최근 여러 번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
그런데 이와는 정반대로 학생이 너무 많아 문제가 되는 학교도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교육 환경 차이가 너무 커 나타난 비정상적인 현상인데요, 관련 소식 취재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김은혜 기자, 아무래도 교육 환경에 따른 선호도에서 차이가 있겠죠?
◀기자▶
그동안 학생 수 감소에 따른 학교 통폐합을 계속 알아봤는데요.
학생이 줄어든다는 건 인구 감소 문제에다 교육 환경이 열악한 탓도 작지 않습니다.
반대로 교육 여건, 그러니까 상급 학교 진학에 유리한 곳에는 선호도 높다 보니, 과밀 학급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 한 학급당 인원이 얼마나 되죠?
◀기자▶
대구에 초등학교는 대부분 공립으로 227개 공립초등학교가 있습니다.
국·사립은 정원 등의 조치가 있기 때문에 공립만 보면요.
초등학교가 있는데요.
지역 227개 공립초등학교 학급당 평균 학생은 23.2명입니다.
227개 학교 가운데 학급당 학생 수가 28명이 넘는 과밀학급이 있는 학교는 10곳입니다.
수성구가 4곳으로 가장 많고 달서구 3곳, 달성군 2곳, 북구 1곳입니다.
◀앵커▶
수성구가 가장 많긴 한데 달서구, 달성군에도 5곳이나 되네요?
◀기자▶
그렇습니다만 지역에 따라 차이가 좀 있는데요.
달서구, 달성군, 북구는 대단지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며 인구가 급격히 늘어난 이유가 크고요, 수성구는 사정이 다릅니다.
수성구의 한 초등학교 경우를 보면, 1학년은 7개 반인데 4, 5학년은 11개, 6학년은 13개 반입니다.
저학년과 고학년 사이 약 2배 차이가 납니다.
특히 2021년에는 학급당 학생은 2021년 39명까지 올라갔다가 2022년 임시 교실 4개를 설치하면서 평균 32.9명으로 줄어든 수치가 이 정도입니다.
◀앵커▶
이유는 앞서 언급한 상급학교 진학 같은 게 되나요?
◀기자▶
그렇습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중고등학교 진학을 위해 전입한 학생들이 크게 늘기 때문입니다.
사정이 그렇다 보니 학교에서는 교과 수업도 수업이지만 인성이나 감성 교육에 좀 더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앵커▶
어떤 지역은 학생이 없어서 학교가 없어지고 어떤 지역은 너무 많아서 과밀인 상황인데, 균형을 잡기 위한 대책은 없을까요?
◀기자▶
말씀대로 학생 수가 적은 학교는 통폐합 기준 이하로 줄어들면 학부모 동의에 따라 학교가 사라집니다.
하지만 학생 수가 많은 과밀학교는 신설은 물론 이전도 쉽지 않아 대책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초등학교는 중고등학교와 달리 거주지와 가까운 학교 배정이 원칙이어서 학생 배치 문제가 더 어려운데요.
김선애 대구시교육청 사무관의 말 들어보겠습니다.
◀김선애 대구시교육청 사무관▶
"대규모 택지개발지역 같은 경우에는 학교 신설을 추진하고 공동주택 개발 지역은 사업 시행자가 부담하는 기부채납을 통해서 과밀을 해소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공동 통합구역제도를 확대하는 부분을 검토하고 있고요."
그동안 여러 차례 살펴본 학령 인구 급감에 따른 학교 통폐합, 반대로 특정 지역은 학생 수가 너무 많아 과밀학급을 걱정해야 하는 양극화현상이 벌어지고 있는데요.
단순히 학생 수 늘리기보다 이 같은 교육 불균형 해소 또한 상당히 중요한 문제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