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쓰러져가는 위안부 역사관 기획 보도 순서입니다.
위안부 피해 단체와 전문가들은 역사관의 더 나은 운영 방식을 고민하지만, 지자체는 민간단체가 하는 일이라며 손을 놓고 있습니다.
위태로운 위안부 기록물 현실, 변예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대구에 있는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은 고 김순악 할머니가 '기억해 달라'며 남긴 5천만 원에 시민 성금 8억여 원이 더해졌습니다.
대구시와 여성가족부, 중구청이 4억 5천만 원을 지원해 지난 2015년 역사관의 문을 열었습니다.
화려했던 시작과 달리 시간이 지날수록 건물 노후와 운영난 등으로 기록물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습니다.
대구시는 개관에 지원을 한 만큼 더 이상 지원은 없고, 이제는 '민간단체가 하는 일'이라고 말합니다.
◀대구시 관계자▶
"건립부터 해서 이게 이제 사단 법인에서 운영하는 상황이고··· 서울이나 경기도나 이렇게 이제 민간이 운영을 다 하고 있고요."
서울시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과 경기도 나눔의 집도 대부분 후원금으로 운영합니다.
그런데, 대구 희움 역사관과는 달리 후원금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나타납니다.
부산에 있던 위안부 역사관은 고 김문숙 선생이 운영해 왔는데 2021년 세상을 떠나면서 문을 닫았습니다.
오갈 데 없던 기록물을 두고 부산시는 이에 대한 지원 근거가 없고, 역사적 가치가 낮다며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기록물은 창원대와 강원대로 옮겨졌습니다.
이제 지방에는 대구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만 남았습니다.
위안부 문제에 관한 관심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상황.
◀김창록 전 일본군 위안부 연구회 회장▶
"일본 위안부 문제가 피해자들께서 다 돌아가시면 다 끝난 게 아닌가 혹은 이미 할 만큼 한 게 아닌가라고 하는 그런 생각을 가진 분들도 계시는 것 같아요."
역사관 운영을 두고 여러 대안이 나오지만, 무관심 속 목소리는 어디에도 닿지 않습니다.
◀서혁수(사)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대표▶
"온전히 운영되기 위해서는 정식 박물관 등록을 하고 박물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두 명의 학예사가 근무할 수 있는 조건이 되어야 합니다."
◀김경남/경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위탁 관리 방식으로 지원을 받고 나중에 대구광역시에 대구 기록원이 만들어지게 되면 거기에서 전문적으로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체제가 만들어지면 좋겠습니다."
할머니들의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이용수 할머니▶
"제발 할머니들 숨 떨어지기 전에··· 저도 마찬가집니다. 기운이 점점 떨어지고 이래서 할 말도 다 많이 많이 다 잊어버리고 못 하는 것 같아요."
'기억해 달라'는 김순악 할머니의 유언처럼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기억하기 위한 민관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 뉴스 변예주입니다. (영상취재 이승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