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북구 대현동 이슬람 사원 건축공사 논란이 3년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주민 반대를 넘어 사회적 갈등으로 확산하고 있는데요, 이슬람 사원 건축을 놓고 지역 주민들이 대구 북구청에 탄원서를 제출하면서 2021년 2월 16일 공사 중지 행정명령을 내린 이후 법정 공방을 벌이다 대법원판결을 통해 공사가 재개됐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이 돼지머리를 갖다 놓고 돼지고기 파티를 벌이는 등 갈등이 계속되면서 공사 역시 중단과 재개가 반복되고 있는데요, 이슬람사원 건립 갈등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최근 현장을 직접 다녀온 국가인권위원회 박진 사무총장을 만나 알아봤습니다.
"돼지머리로 표현되는 이런 것들을 그냥 단순한 갈등으로 볼 수 있을까"
"조금 우려스러운 여러 혐오 표현이 등장한 사건이다"
"정부 당국이 좀 더 세심한 행정을 했었어야 한다고 생각을 하고요"
국가인권위 사무총장 박진입니다. 반갑습니다.
Q. 이슬람 사원 건립 갈등 어떻게 보나?
뉴스에서 보이던 모습은 사실은 돼지고기로 대변되는 장면이었잖아요? 현장을 가서 보니 종합적으로 감정을 말씀드리면 안타까움이었습니다. 특히 골목에는 그 무슬림 유학생의 자녀로 보이는, 아주 아장거리는 어린아이가 있었는데 그 아이에게 보이는 이 풍경은 어떤 풍경일까라는 그런 마음이 좀 들어서, 그래서 참 생각보다 조금 더 안타까운 그런 마음으로 현장을 봤습니다.
사람이 사는 곳에서는 어디나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슬람 사원이 아니라 하더라도 민원은 발생할 수 있죠. 갈등은 발생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런데 이 사안을 그렇게 단순한 갈등의 사안이라고 볼 것이냐고 본다면 거기에 등장하는 여러 표현은 굉장히 우려스럽습니다.
이를테면 '무슬림은 테러리스트'라거나 '한국에 동화되지 않는 이슬람'이라거나, 또는 그 돼지머리로 표현되는 이런 것들을 그냥 단순한 갈등으로 볼 수 있을까? 저는 그런 것을 그냥 단순한 갈등으로 볼 수는 없다. 이것은 다른 문화가 들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금 우려스러운 여러 혐오 표현이 등장한 사건이다라고 생각합니다.
Q. 행정기관의 역할은?
행정기관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21년 4월 유엔총회에서 유엔의 종교 또는 신념의 자유 특별보고관이 이슬람 문화에 대한 대응 보고서를 발표했는데요. 특히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라고 언급을 하면서, 정부는 폭력을 선동하거나 가담하는 경우 해당 사안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에 잘 대응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거든요? 여기는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안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이 과정에서 정부 당국이 북구청을 대표로 해서 잘 대응했냐고 본다면 오히려 민원 초기 발생 단계에 주민들이 낯선 문화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현상들을 예측하고 좀 더 세심한 행정을 했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행정당국이 뭘 해야 하는가는 대화 테이블을 만드는 것도 우선적으로 중요하고 더불어서 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정적인 노력도 수반되면, 그러면 지역민들도 '아! 공존하는 이웃 주민이구나'라고 더 많이 납득할 수 있기 때문에 갈등의 해결책들은 아주 작은 데서부터 풀리지 않겠냐고 생각합니다.
Q.기존 주민 피해는?
당연히 주민들의 피해가 전혀 없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주민들도 살던 공간에서 살아야 하거든요? 그리고 마찬가지로 유학생들도 2014년부터 기도소에서 생활했고 하숙생 또는 하숙집 주인, 이렇게 공생했던 관계거든요? 그런데 이제 그게 공존이 깨져 있거든요?
누구를 앞세우고 누구를 뒤세우는 관계가 아니라 공존을 위해서 양 당사자의 권리가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뭐 이거 누구 인권이 더 중요하고 이런 문제 전혀 아니라고 생각하고요. 2014년부터 우리는 공존하고 살아왔기 때문에 그 공존을 위한 방법을 같이 충분히 찾을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분명하게 이게 저희가 갈등이라기보다는 어떤 혐오 표현이라고 보이는 어떤 양상들에 대해서는 저는 좀 더 행정당국이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혐오 표현이라는 것들이, 사실은 해도 되는 것이라고 보이면 제재하기가 굉장히 어려운데요. 공동체의 의무로써 그런 표현을 하면 안 된다는 것들을 이제 행정당국이 나서서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 공동체에 같이 살고 있는 주민과 그리고 또 유학생 모두 다 공존의 노력으로 그런 모습들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Q.올바른 해결 방안은?
아주 그냥 딱 부러지는 정답이 있었으면 저도 좋겠습니다. 그런데 사람의 생활과 삶이 연결되어 있어서 그렇게 쉽지는 않을 겁니다. 그게 갈등이라고 보이는 거죠. 문제없이 같이 공존했던 것, 거기에 실마리가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런데 왜 갑자기 이것이 종교 갈등이 되고 굉장히 어떤 뭐 좋지 않은 양상으로 번지는지 여기에 좀 답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초심으로 좀 돌아갔으면 좋겠다는 거죠. 같이 이웃으로 살았던 그 당시의 기억, 그래서 지금 왜 그때랑 뭐가 달라졌는지를 가려놓고 보면 저는 대화 채널은 충분히 여전히 마련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저는 2014년으로 돌아가자는 거죠. 지금 이웃으로 살아왔던 공존의 시대로 돌아가서 그때처럼 살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 그렇게 정말 어려울까? 극한의 갈등으로 혐오 표현의 문제, 종교 갈등의 문제로 드러날까? 그래서 저는 원론적이지만 공존이라는 원칙을 세우고 행정당국과 경북대학교가, 그리고 그런 걸 중재할 수 있는 어떤 역할을 할 누군가가 필요하다면 인권위가 나서겠다는 겁니다.
그럴 때 공존이라는 기본 테마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다면 대화한다면 왜 안 풀리겠습니까? 누구를 쫓아내야만 문제가 풀린다고 생각하면 문제는 풀리지 않고 같이 더불어 살자고 하면 문제는 풀릴 거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