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MBC NEWS대구MBC 사회대구MBC 뉴스+환경지역

[뉴스+] 수돗물 안전성 논란 ① "녹조에 흙탕물에···얼마나 많은 약품을 썼겠냐"

대구와 경북 고령군의 수돗물에서 총트리할로메탄이라는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측정됐습니다. 세종대학교 맹승규 교수 연구팀이 2023년 8월과 9월 대구 8개 지점과 경북 고령군 8개 지점의 수돗물을 분석했더니 대구는 8곳 중 4곳, 고령은 8곳 모두에서 기준치인 리터당 0.1㎎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난 겁니다. 발암물질인 총트리할로메탄은 정수장에서 미생물과 같은 유기물을 억제하기 위해 염소를 투입하면 생기는 소독 부산물입니다.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매달 총트리할로메탄 농도를 검사하는데, 먹는 물 수질 기준을 초과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는데요, 하지만 맹승규 교수 연구팀이 채수한 날짜와 매곡정수장, 고령군이 채수한 시점이 다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설사 기준치 이하라 하더라도 낙동강 물을 쓰는 수돗물의 총트리할로메탄 농도가 다른 곳의 물을 쓰는 수돗물 농도에 비해 적게는 2배, 많게는 138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낙동강 물이 식수로서 다른 식수원보다 나쁘다는 점은 다시 한번 확인됐습니다.

환경운동단체와 시민사회단체들은 10월 31일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는데요, 고령군민이기도 한 곽상수 낙동강네트워크 공동 대표가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 직접 들어봤습니다.

곽상수 낙동강네트워크 공동 대표 (고령군민)
아직도 낙동강에 있는, 특히 지천입니다, 지류는 그나마 모래 강이 흐르기 때문에 녹조를 볼 수가 없어요. 하지만 마을에서 내려오는 조그만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이런 지천에는 꽤 많은 녹조가 지금 있습니다. 지금도 낙동강 곳곳에 가면 많은 녹조가 있어요. 그나마 이 환경부가 이런 것 같아요.

지금까지 우리가 문제 제기했던, 녹조가 많다 하면 주로 달성군 구지에 있는 이노정. 국가산단 취수장 이런 데는 녹조가 없어요. 관리를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가 녹조가 있는데 말 안 했던, 좀 숨겨둔 그런 곳에서는 녹조가 꽤 있어요. 그만큼 심각하다, 이렇게 말씀을 드리고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고령은요, 상수도를 수공에서 관리를 합니다. 민간 위탁을 한 거죠. 그래서 다산면에 있는 취수장과 양수장에는요, 다산면, 성산면, 개진면, 우곡면, 4개 면에 한 1,500명 정도의 주민이 물을 먹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총트리할로메탄이 나온 거죠. 수도꼭지에서 나왔습니다. 기준치 이상 0.01에서 0.05 정도 나온 것 같아요. 

그런데 여기에 대해서, 제가 낙동강변에 살잖아요. 이렇게 본다면 문제가 뭐냐 이렇게 본다면 이겁니다. 올해 낙동강 녹조는요, 6월 24일, 6월 25일 정점을 찍었습니다. 엄청 심했습니다. 그러다가 6월 말에 장마가 온 이후로 녹조가 사실은 보이지 않아요. 언제 마지막 비가 왔냐 하면요, 9월 22일 낙동강에 마지막 비가 왔습니다. 꽤 왔어요. 한 100㎖ 정도 옵니다. 그렇게 되면 낙동강이 어떻게 변하느냐 하면요, 낙동강에 100㎖ 이상 비가 오면 흙탕물이 가라앉는 데는 정확히 20일이 걸립니다. 9월 22일에 온 비로 낙동강이 흙탕물이 완전히 사라진 게 10월 12일이었어요.

그때부터 쌀쌀합니다. 하지만 녹조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우리가 말하는 녹조는 동일한 조건에서 물 흐름과 또는 햇빛, 부영양화, 온도, 여기에서 6월 25일부터 10월 12일까지 100일 동안 낙동강은 흙탕물이 있었어요. 100일 동안 당연히 녹조는 보이지 않죠. 하지만 지류·지천에는 녹조가 가득 찼고, 본류에는 흙탕물로 인해서 녹조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당연히 취수를 하고 수돗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 흙탕물까지 관리를 해야 하는데 '얼마나 많은 약품을 썼겠느냐'라고 저희가 생각을 해볼 수 있는 거죠. 그래서 총트리할로메탄이 고령군에서는 음용하면 안 되는 그런 수치가 나왔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렇다면 해결점은 하나입니다. 물을 흐르게 하면 돼요. 하지만 올해 윤석열 정부에서는 환경부와 농림부가 지금까지 약속했던 취·양수장 개선 비용 전액을 삭감을 했어요. 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가령 고령을 예로 들자면 이런 겁니다. 다산 취수장에 난리가 나서 수돗물을 먹느니 마느니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고령읍에 있는 취수장에서도 뭔가 문제가 생겼어요. 이건 지금 현재 저희가 추적을 하는데 조만간 발표를 할 겁니다. 

그런데 고령군은 무계양수장, 취수장 개보수 사업을 거부했습니다. 수돗물이 난리가 나고 실질적인 주민 3만 명이 먹는 물에서 발암물질이 나오는데도 고령군은 보 개방이 싫다고 사업비를 안 받겠다고 하는 겁니다. 이게 낙동강 수계에 있는 전 지역의 현상입니다. 주민이 죽든 말든 수돗물에 독극물이 나오든 말든 '보 개방 못 하겠다', 낙동강이 100일 동안 흙탕물이 가득 찼는데도 '모르겠다', 이게 지방정부의 입장이고 중앙정부의 입장이지 않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수도권에서는 난리가 나고 그나마 대구에서는 이렇게 기자들이 이 자리에 취재를 해 줍니다. 하지만 고령군 같은 데는 '그게 뭐지?', '몰라도 돼' 이게 현실인 것 같습니다.

윤영균

추천 뉴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