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투더투데이] 2003년 1월 18일 소방헬기 '달구벌 2호' 추락2003년 1월 18일 오후 4시쯤, 경남 합천군의 합천호에서 대구소방본부 소속 소방헬기 '달구벌 2호'가 추락했습니다. 자동 비행 조정장치를 시험하던 중이었던데 기체가 중심을 잃윤영균2025년 01월 18일
[백투더투데이] "이제부터 우린 경산시" 1989년 경북 경산시 승격1989년 1월 1일 경북 경산읍이 경산시로 승격됐습니다. 이후 1995년 경산시와 경산군이 다시 통합해 현재의 도농복합형 도시의 모습을 갖추게 됐습니다. 경산시 승격 당시 인구는윤영균2025년 01월 12일
[백투더투데이] 더 스쿨㉙ "당당히 내 꿈들을 보여 줘야 해" 대구 능인고대구 능인고등학교의 전신은 1939년 경북 영천 은해사에서 개교한 오산불교학교였습니다. 일제 강점기 민족정기 교육을 위해 만든 학교였는데요, 1946년 능인중학교, 1951년 능인윤영균2025년 01월 11일
[백투더투데이] "두 날로 가는 썰매" 1991년 경북 산골 마을의 썰매요즘 아이들은 스케이트를 타려면 스케이트장에, 썰매를 타려면 눈썰매장에, 하다못해 그냥 놀려면 '놀이동산'을 가야 하지만 1990년대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겨울이면 아버지가 집에윤영균2025년 01월 05일
[백투더투데이] 카메라출동-"현금 없는 버스라더니" 1985년 대구의 토큰 판매소사회의 여러 문제점을 고발하는 콘텐츠는 언제나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마련입니다. 요즘은 유튜브나 OTT에서도 이런 시사 콘텐츠를 방송하지만 예전에는 공중파 TV에서밖에 볼 수 없었윤영균2025년 01월 04일
[백투더투데이] "응애 응애" 1980년~90년대 새해 첫아기 출산새해 첫날이 되면 많은 언론이 새해의 첫 출산, '새해둥이'에 대한 취재를 합니다. 아이들이 아무래도 나라의 미래이기 때문이겠죠. 1910년대 6명이 넘던 합계출산율은 1970년 윤영균2025년 01월 01일
[백투더투데이] 더 스쿨㉘ "나는 아직 순수함을 느끼고 싶어" 경북여상경북여상은 1961년 개교했습니다. 경북여자경영정보고, 경북여자정보고로 이름을 바꿨다가 2010년 다시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돌아왔습니다. 경북예고와 함께 대명동에 있다윤영균2024년 12월 29일
[백투더투데이] "망원경 좀 줘 봐라" 1980년~90년대 대입 원서 접수요즘은 수능을 먼저 친 뒤에 수능 점수에 따라 대학교에 원서를 내지만 1980년대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먼저 가고 싶은 학교와 과를 정해 원서를 내고, 그 지원자들이 같은 자리에윤영균2024년 12월 28일
[백투더투데이] "노을빛 냇물 위엔 꽃모자 떠가는데" 1991년 경북 고령 겨울방학 풍경요즘은 아이들이 방학을 하면 학원부터 알아보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1990년대까지만 해도 그렇지 않았습니다. 방학 숙제는 잠시 미뤄두고 하루 종일 동네 친구들과 놀 궁리를 하느라 윤영균2024년 12월 25일
[백투더투데이] "크리스마스에는 그 거리에" 1980년~90년대 대구의 크리스마스요즘도 크리스마스는 종교에 상관없이 많은 사람들이 기념하고 또한 즐기는 날이지만 1980년대의 분위기는 더 뜨거웠습니다. 크리스마스 전날 대구 동성로에는 몰려든 시민들로 발 디딜 윤영균2024년 12월 22일
[백투더투데이] "하나 둘 셋 너이 다스 여스 일곱 여덟" 1980년~90년대 국민체조국민체조는 1977년 정부에서 만들어 국민에게 보급한 체조입니다. 1980년대까지 이어진 군사 정부의 지시로 일선 학교에서는 체육 시간은 물론이고 매일 아침 운동장에서, 비가 올 윤영균2024년 12월 21일
[백투더투데이] "학생이 왜 이렇게 많아?" 1980년대 대구의 국민학교요즘은 학생 수가 줄어들면서 아예 학교가 없어지는 경우까지 있지만 초등학교가 국민학교로 불리던 1980년대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한 반 학생이 60~70명 정도 되었고, 오전반과윤영균2024년 12월 18일
[백투더투데이] 더 스쿨㉗ "혜영아, 책상 좀 치워라" 경북대 사대부고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줄여서 경북대 사대부고는 1946년 대구사범대 부속 중학교로 발족했습니다. 1951년 대구사범대 부속 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52년 윤영균2024년 12월 08일
[백투더투데이] 원스어펀어타임 인 대구-송현동대구 송현동은 원래 달성군 성서면에 소속되어 있다가 1957년 대구시에 편입됐습니다. 이후 1963년 달성군으로 환원되면서 월배면으로 이관됐습니다. 달성군청과 서부정류장이 들어서고윤영균2024년 12월 07일
[백투더투데이] "머나먼 길을 찾아 여기에" 1970년~90년대 구미공단1964년 11월 30일 우리나라는 마침내 수출 1억 달러를 달성했습니다. 이날을 기념해 '수출의 날'이라고 이름 붙였는데요, 1990년부터 '무역의 날'로 이름을 바꾸고 2012윤영균2024년 12월 06일
[백투더투데이] 카메라출동-"번호판이 하나도 안 보여요" 1985년 연탄 배달 화물차사회의 여러 문제점을 고발하는 콘텐츠는 언제나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마련입니다. 요즘은 유튜브나 OTT에서도 이런 시사 콘텐츠를 방송하지만 예전에는 공중파 TV에서밖에 볼 수 없었윤영균2024년 12월 01일
[백투더투데이] 더 스쿨㉖ "내 갈 길 내가 개척한다" 대구 협성고협성고등학교는 1955년 협성상업고등학교로 처음 문을 열었습니다. 1978년 대명동에서 봉덕동으로 이전했고, 1985년에는 상고에서 일반계로 전환하고 이름도 현재의 협성고등학교로 윤영균2024년 11월 30일
[백투더투데이] "1010235 열렬히 사모해" 1980년~90년대 삐삐 문화지금은 초등학생까지 스마트폰을 들고 다녀서 원하면 언제라도 연락할 수 있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대백 앞' 같은 약속 장소에서 상대가 나타날 때까지 무작정 기다릴 수밖에윤영균2024년 11월 27일
[백투더투데이] 원스어펀어타임 인 대구-앞산순환도로대구 앞산순환도로는 남구 봉덕동과 달서구 상인동을 잇는 고속화도로입니다. 지금은 왕복 6차로에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 통행도 금지되어 있지만 1990년 초반까지는 그렇지 않았습니다윤영균2024년 11월 24일
[백투더투데이] 더 스쿨㉕ "어디 취업하는 게 좋을까요?" 대구중앙고대구중앙고등학교는 1952년 중앙경리기술고등학관으로 시작했습니다. 이후 중앙상업고등학교로 승격됐고, 1999년에는 중앙경영정보고로 교명을 변경했습니다. 오랫동안 상업고등학교로 있다윤영균2024년 11월 23일
[백투더투데이] "기아가 후진이 없는데요" 1970~90년대 운전면허1970년대까지만 해도 '자가용'으로 불리던 승용차는 부의 상징이었지만, 1980년대부터 조금씩 대중화되면서 '마이카' 시대를 열어갔습니다. 이와 함께 운전면허를 따기 위한 열풍도윤영균2024년 11월 20일
[백투더투데이] 더 스쿨㉔ "숙녀에게" 효성여대효성여대는 1952년 대구시 봉덕동에서 효성여자초급대학이라는 이름으로 개교한 뒤 1953년 4년제 효성여자대학으로 승격됐습니다. 1984년부터 캠퍼스를 현재의 경산으로 이전했는데요윤영균2024년 11월 17일
[백투더투데이] "대구 시내에도 말 달구지가?" 1970~90년대 대구의 골목길지금은 대구의 도로는 물론 대부분의 골목길도 차가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는 넓고 반듯하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말이 끄는 달구지가 시내 도로를 누비기도 했고, 도로에서 조윤영균2024년 11월 16일
[백투더투데이] 카메라출동-"약사여래불, 약사여래불" 팔공산 오르는 수험생 학부모들사회의 여러 문제점을 고발하는 콘텐츠는 언제나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마련입니다. 요즘은 유튜브나 OTT에서도 이런 시사 콘텐츠를 방송하지만 예전에는 공중파 TV에서밖에 볼 수 없었윤영균2024년 11월 13일
[백투더투데이] "어머님은 짜장면이 싫다고 하셨어" 1980년~90년대 어머니자식을 향한 어머니의 사랑은 시대가 아무리 바뀌어도 달라지지 않겠죠. 살림살이가 넉넉하지 않거나 수험생처럼 마음이 여유롭지 않을 때 더욱 애틋한 것이 모정이기도 합니다. 1980년윤영균2024년 11월 10일
[백투더투데이] 더 스쿨㉓ "유도를 통해 예절 배워요" 대구 덕원고대구 덕원고는 1979년에 대구시 수성구 황금동에서 개교했다가 2002년 수성구 욱수동으로 이전했습니다. 1985년에 창단한 유도부가 유명한데요, 교기도 유도로 선정돼 있습니다. 윤영균2024년 11월 09일
[백투더투데이] "배추 한 포기가 350원?" 1980년~90년대 김장철요즘은 김치를 1년 365일 마트나 홈쇼핑에서 살 수 있지만 1980년대에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겨울이 다가오면 연탄을 쟁여놓는 것과 함께 김장을 하는 것이 가장 큰 행사였습니다.윤영균2024년 11월 06일
[백투더투데이] "'야무진'을 아십니까?" 2000년 삼성상용차 사태삼성상용차는 1996년 8월 삼성중공업에서 분리돼 1997년 대구시 달서구 호산동(당시 파산동)에 설립됐습니다. 1998년 11월 닛산 F23 아틀라스를 기반으로 삼성SV110 자윤영균2024년 11월 03일
[백투더투데이] 원스어펀어타임 인 대구-이천동대구 대봉교 주변에는 '마지막 향토 백화점' 대백프라자와 신천을 따라 높은 아파트 단지들이 들어서 있는데요, 1990년 이전까지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6.25 전쟁 피난민들이 판잣윤영균2024년 11월 02일
[백투더투데이] "소신 없는 대통령 물러가라" 1980년~90년대 증권가요즘은 스마트폰으로도 주식을 사고팔 수 있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1956년 우리나라에 증권시장이 개설됐을 당시에만 해도 농산물시장처럼 수신호로 매매를 했고, 주판으로 계윤영균2024년 10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