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학령 인구 감소로 생존에 위협을 받는 지역 대학들이 통폐합과 구조조정 등으로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지만,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지자체가 '지역 대학 소멸'의 방패 역할을 자처하고 나섰습니다.
대구시는 '대학 정책국'을, 경상북도는 '교육 정책국'을 각각 신설해 대학의 위기에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박재형 기자입니다.
◀기자▶
'위기의 지역 대학을 살리는 것이 지역을 살리는 길로 이어진다.'
갈수록 빨라지는 지역 대학의 소멸 위기에 지자체가 마냥 손 놓고 있을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대구시는 2024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국 단위의 '대학정책국' 신설을 추진합니다.
정부만 바라보지 않고 지역이 대학의 위기 해결을 주도해 나가겠다는 겁니다.
기존의 교육정책팀, 교육지원팀 등을 포함하는 1국 2과 체제로, 지역 대학 육성을 위한 소통과 지원 역할 등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홍준표 대구시장 (2023년 11월 3일 도심캠퍼스타운 사업 행사)▶
"대구의 대학, 경북의 대학과 협력을 해서 대구·경북의 모든 대학이 상생하고 같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그런 준비를 하도록 하겠다."
경상북도 역시 오는 4월쯤 조직 개편을 통해 '교육정책국' 신설을 적극 검토하고 있습니다.
흩어져 있던 교육 관련 부서를 대학, 고등·중등 지원 등으로 한데 모아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지역 대학 살리기에 나선 지자체의 행보에 엇갈린 반응이 나옵니다.
지방대 부활의 새로운 신호탄이자 불씨가 될 거라는 긍정적인 관점이 있습니다.
인구감소, 청년 유출 등 지역의 고질적인 병폐를 지방대 위기와 분리해서는 결코 해법을 찾을 수 없다는 얘깁니다.
◀지역 대학 관계자▶
"어떤 식으로든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 (지자체와 대학이) 같이 협업해서 나갈 수 있는 점은 굉장히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죠."
부정적인 평가도 있습니다.
최근 경북대 홍원화 총장은 공개석상에서 지자체가 주도하는 대학 살리기에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홍원화 경북대 총장 (2023년 12월 28일 아시아포럼 초청 토론회)▶
"국장들이 총장들 불러서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하라고 했을 때 고등교육의 현장이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우려. 당장 대구에 대학정책국이 과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여기에는 제가 퀘스쳔마크(물음표)를··· 정책국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선택과 집중을 할 수 있을까?"
대학마다의 독특한 특성과 다양성 등이 퇴색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지역 대학 관계자▶
"대학마다 특성이 사라지는 그런 문제점이 있다. 대학마다 여러 가지 색깔이 있는데, 그런 색깔대로 사업이 돼야 하는 데 천편일률적인, 지자체장의 어떤 사업 호불호에 따라 사업을 선정하는···"
지자체가 대학의 소멸 위기에 공감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나선 가운데 위기의 지방대 부활의 새로운 해법이 될지 지켜볼 일입니다.
MBC 뉴스 박재형입니다. (영상취재 윤종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