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MBC NEWS대구MBC NEWSDESK대구MBC NEWSDESK, TODAY 리포트 안동‧포항MBC NEWS대구MBC 사회환경지역대구MBC 뉴스데스크 사회대구MBC 뉴스투데이 사회

"저탄소 농산물 몰라서 못 산다"

◀앵커▶
기후위기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는 농산물 생산 과정에서도 적지 않게 배출되는데요. 

그래서 우리나라도 10여 년 전부터 저탄소 인증 농산물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정작 소비자들은 제도 자체를 잘 모르고 농민들도 힘들게 인증을 받아도 혜택이 없다며 회의적입니다.

장성훈 기자입니다.

◀기자▶
경북 포항 시내 한 대형마트의 친환경 과일 코너입니다.

저탄소 인증 마크를 단 과일들이 진열돼 있습니다. 

이 마크는 친환경이나 GAP 우수농산물에 한해, 재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인 농산물임을 국가기관에서 인증하는 겁니다.

보다 건강하고 윤리적인 농산물을 더 생산하고 소비하자는 취지인데, 그린카드를 통해 구매 금액의 5%를 포인트로 적립해 줍니다.

저탄소 인증 농산물 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정작 소비자들은 제도 자체를 잘 모릅니다.

◀기자▶ 
"저탄소 인증 농산물이라고 들어보셨어요?"
◀소비자▶ 
"처음 들어봅니다"
◀기자▶ 
"처음 들어봐요?"
◀소비자▶ "
네"

◀도유미 포항시 대잠동▶
"환경보호 하는 것 같다고 생각해서 기왕 사는 거 이거 사보자 이렇게 샀지··· 포인트 적립하고 이런 걸 알았으면 더 샀을 것 같아요"

이런 현실은 정부 기관의 소비자 설문조사에서도 확인됩니다.

저탄소 인증 농산물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30% 안팎에 불과했고, 52.9%가 몰라서 구매하지 않았다고 응답했습니다.

◀홍연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홍보라든지 프로모션, 인지도를 높이는 방법을 고민하고 그걸 확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5년 전 저탄소 인증을 받은 포항시 죽장면의 한 사과밭입니다.

제초제를 뿌려 풀이 없는 일반 과수원들과는 달리, 클로버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제초제 대신 클로버 같은 녹비성 피복 식물을 심어, 제초 효과와 지력을 높이는 농법으로 토양에서 탄소가 저절로 배출되는 걸 막고, 비료와 농약 사용도 최소화하기 위해섭니다.

◀구태환 죽장사과영농법인 대표▶
"옛날 관행으로 할 때는 18~20회 정도 (농약) 방제를 했던 반면에 지금은 10회 정도 하니까 농약의 걱정이 상당히 줄어들고 하여튼 환경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에겐 실질적인 혜택이 없고 시장의 반응도 시원잖다보니, 제도 시행에 회의적입니다.

◀구태환 대표 죽장사과영농법인▶
"정말 힘들어요. 보조사업을 어떻게 해준다든가 해서 농가들이 좀 쉽게 농사지을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런 거는 전혀 없고 또 혜택도 없고"

저탄소 인증 농산물의 재배 규모는 2012년 도입 이후 해마다 증가해 현재 전국적으로 8천여 농가에 9천 헥타르가 넘습니다.

특히 경북지역은 전체의 1/3이 넘어 저탄소 인증 비율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여기에다 2023년부터는 축산물도 제도 시행에 들어가는 만큼, 저탄소 농축산물 제도 전반에 대한 보완책 마련과 함께, 대국민 홍보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mbc뉴스 장성훈입니다. (영상취재 박주원)

장성훈

추천 뉴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