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이 오는 2030년 개항 예정으로 추진되고 있는데요.
대구시가 민간공항을 어느 정도 규모로 지을지 발표했습니다.
유럽과 미주 노선 항공기가 뜰 수 있는 3.800m 길이의 활주로를 갖춘다는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권윤수 기자와 관련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권윤수 기자, 대구시가 계획하고 있는 공항 규모, 어느 정도나 됩니까?
◀기자▶
대구시는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의 성공 여부에 따라 대구 미래 50년이 결정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2030년 개항 예정인 통합 신공항이 중·남부권 중추공항이 되도록 민간공항 건설·운영을 담당할 국토교통부에 충분한 규모로 지을 것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의 활주로는 2개로 지금처럼 군 공항과 민간 공항이 함께 쓸 예정인데요.
활주로 2개 중 1개는 유럽과 미주 노선 같은 대형 항공기가 뜰 수 있도록 3,800m 길이로 지어달라고 국토교통부에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통합 신공항이 생기면 해외여행과 항공 물류 서비스가 편리해져 대구·경북권은 물론 충청권, 강원권에서 수요가 급증할 걸로 보여서입니다.
대구시는 203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제 여객 수요의 14.2%인 1,998만 명, 국제항공 화물 수요의 25.1%인 148만 톤을 통합 신공항이 처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종헌 대구시 정책총괄단장의 이야기 들어보시죠.
◀이종헌 대구시 정책총괄단장▶
"대구 통합 신공항은 대구·경북권은 물론이고 충청권, 강원권 가덕도 신공항 완공 이전에 부울경 등 영남권 등에서 통합 신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앵커▶
항공 수요가 그렇게 늘어난다면, 활주로뿐 아니라 항공기 계류장도 그만큼 늘려야겠죠?
◀기자▶
대구시는 항공기 운항 횟수와 항공기당 계류장 점유 시간 등을 감안해 여객기 계류장은 53개, 화물기 계류장은 4개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그래서 민간공항의 계류장은 57개 만들기로 했고 '하늘 택시'라 불리는 도심항공교통이 뜨고 내릴 수 있도록 이른바 '버티포트'도 건설합니다.
공항 접근 교통수단이 집결된 환승센터와 감염병에 대비한 재난 특화 스퀘어, 복합문화 공간도 만듭니다.
또 2030년 완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요, 2035년에는 3,200m 길이의 민간 전용 활주로를 더 만들기로 했습니다.
2060년이면 통합 신공항의 여객 수요가 2,887만 명, 화물 수요는 197만 톤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입니다.
인천공항의 2/3 규모가 될 걸로 봤습니다.
배석주 대구시 통합 신공항 건설본부장입니다.
◀배석주 대구시 통합 신공항 건설본부장▶
"민간항공기 이용할 수 있는 운항 횟수라고 해야 하나요? 운항 횟수가 분석해보니까 12만 6천 회 정도 되더라고요. 12만 6천 회 되는데··· 12만 6천 회가 계속 운용이 되면 가능하겠으나 저희가 수요 분석해보니까 2045년도에는 13만 회 넘어야지 수요를 처리할 수 있다··· 모자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로 활주로가 필요하지 않겠습니까?"
대구시는 조만간 국토교통부와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의 민간공항 건립을 위한 공식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앵커▶
지역의 미래를 위한 사업 추진인데, 계획대로 되면 좋겠습니다만, 계속 줄어들고 있는 인구 감소세나 국토 면적에 비해 지나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올 법 한데요?
◀기자▶
그런 지적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구시는 기재부의 타당성 조사 지침과 제6차 공항 개발 종합 계획, 최근에 있었던 공항에 대한 사전 타당성 조사에 적용했던 수요 분석 기법을 그대로 적용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최근 출입국 자료와 통신사 이용을 분석해 여객 수요를 예측했고, 한국무역협회의 무역 통계를 바탕으로 화물 수요를 예측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현재의 인천공항 중심의 일극 체계로는 한반도 유사시 대응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지역 균형발전 측면에도 문제가 있다면서 인천공항과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양극 체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과 차로 2시간 반 거리에 있는 가덕도에서도 신공항 건립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가덕도 또한 인천공항에 버금가는 상당한 규모로 짓기를 계획하고 있거든요.
공항 건립의 열쇠를 쥐고 있는 국토교통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