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MBC NEWS대구MBC 경제부동산지역심층보도

[심층] 입주 물량과 전세 계약 건수 비슷, 대구 대혼란

◀앵커▶
대구지역은 부동산 경기가 꽁꽁 얼어붙으면서 거래 실종 현상 속에 매매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습니다.

전세값도 하락하면서 임차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역전세난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취재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양관희 기자, 2023년은 평년보다 3배가 넘는 아파트 입주 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구는 지금까지 보지 못한 대혼란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면서요?

◀기자▶

2023년부터 2024년까지 2년 동안 대구에는 약 6만 가구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나옵니다.

연평균 아파트 입주 물량의 3배 가까운 양으로 역대 최대 물량으로 전세 계약 건수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3년간 대구지역의 전세 계약 건수는 약 3만 2천여 건입니다.

특히 2023년은 연평균 전세 계약 건수보다 입주 물량이 4천 가구나 더 많을 전망입니다.

이병홍 대구과학대학교 금융부동산과 교수의 말을 직접 들어 보시겠습니다.

◀이병홍 대구과학대학교 금융부동산과 교수▶
"대구 사람들이 전에 볼 수 없었던 과다한 (입주) 물량을 적정물량의 3배 이상이 쏟아진다면 대구에 아주 큰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앵커▶

입주예정자들이 자신이 살던 집을 팔거나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아 잔금을 치러야 하지 않습니까?

그런데 지금처럼 거래가 실종된 상황에서는 쉽지 않아 보이는데요.

◀기자▶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동반 하락하는 가운데 거래량이 매우 적은 상황인데요.

가격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는 사람이 많다 보니까 급매물로 싼값에 나오지 않으면 거래가 잘되지 않습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집주인들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경우가 속출할 것으로 우려되는데요.

김진효 한국주택금융공사 대구지사장의 말을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김진효 한국주택금융공사 대구지사 지사장▶
"기존에 2년 전에 가입했던 분들이 전세금을 찾아서 새로 입주를 한다든지 또는 새로운 전세 물건으로 이동한다든지 그런 부분에 있어서 자금이 막혀버리는 형태가 되고 있습니다."

◀앵커▶
입주예정자들이 잔금을 제때 내지 못하면 단순히 개인 문제로만 그치지 않을 것 같은데요?


◀기자▶
입주예정자들이 잔금을 내지 못하면 시행사와 시공업체의 돈줄이 막히면서 금융권 부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023년 대구에 입주 예정인 아파트가 3만 6천 가구니까 보수적으로 잡아서 1가구당 잔금을 1억 원씩만 계산해도 3조 6천억 원에 이릅니다.

전체 분양가의 30% 정도인 잔금이 제때 들어오지 않으면 큰 혼란이 예상됩니다.

이병홍 대구과학대학교 금융부동산과 교수의 말을 직전 들어보시겠습니다.

◀이병홍 대구과학대학교 금융부동산과 교수▶
"잔금을 못 치르게 되니까 결국 이게 개인의 가계 부담을 넘어서서 개인의 연체율까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거기에 또 이어지면 사회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이런 연쇄반응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 아주 큰 문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이런 상황에 대비해 1월 말까지 임대보증금 반환 자금 보증을 기존 1억 원에서 2억 원으로 올리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입주 물량 폭탄이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면서 정부 당국의 철저한 대비책이 필요합니다.


심병철

추천 뉴스

최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