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지역 종가들도 시대적 흐름에 맞춰 조상에 대한 제사를 시간과 형식 면에서 바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설날을 앞두고 조상 제사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안동지역 40개 종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종가에서는 보통 4대 봉사와 불천위 제사, 설과 추석 차례 등 평균 연 12차례 제사를 지내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4대 봉사를 그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제사 시간의 변화입니다.
조상 제사는 밤 11~12시에 지내는 것이 전통적 관행인데, 조사에 따르면 40개 종가 모두 저녁 7~9시로 변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른 저녁으로 시간을 변경하자 사람들의 부담감이 훨씬 줄어들었다는 의견이 대다수였습니다.
해가 늦게 지는 여름에는 저녁 8시 이후가 적합하고, 해가 일찍 지는 겨울철이라면 저녁 7시 전후가 무난하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부부의 기제사를 합쳐서 지내는 합사 방식도 등장했습니다.
기제사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준으로 각각 지내는데, 남편의 기일에 부부를 함께 모시고 부인의 제사는 생략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잦은 제사로 인한 경제적·시간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40개 종가 가운데 약 90%에 달하는 35개 종가에서 합사 형태로 바꾼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4대 봉사를 3대 봉사, 2대 봉사로 바꾼 사례도 11개 종가에 이르렀고, 이 가운데 10개 종가가 조부모까지의 2대 봉사로 변경했습니다.
이에 대해 종손들은 "조부모는 생전에 뵌 적이 있어 친밀감이 깊다"며 변화 내용을 결정할 때 대면 여부를 기준으로 삼았다고 했습니다.
특정 공휴일을 정해 4대조까지 여덟 분의 조상을 함께 모시고 제사를 올리는 종가도 3곳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조상 제사의 지침을 마련한 주자가례와 조선의 예학자들도 제사는 주어진 상황에 맞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며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조상 제사의 본질은 조상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마음이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조상 제사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정성을 다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국학진흥원 김미영 수석연구위원은 "모든 문화가 그러하듯 제사 문화도 시대 흐름에 따라 변하게 마련이다. 이런 경향은 세대가 교체되면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전통문화의 롤 모델인 종가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바람은 우리 사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