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보 수문 열리면 다시 올게" 고령 회천 원앙부부 금실의 대명사인 원앙은 천연기념물 제327호에 지정되어 있는데요, 씨나 나무 열매, 곤충류와 작은 민물고기, 수생식물의 뿌리 등을 먹고 삽니다. 2022년 12월 합천창녕보가윤영균2023년 02월 04일
[영상+] "머리 좀 밟지 마" 포항 바다직박구리바다직박구리는 주로 바닷가 바위 절벽에 살면서 암벽의 갈라진 틈에 둥지를 만들어 알을 낳습니다. 수컷은 화려한 깃털을 자랑하지만 암컷은 적에게 쉽게 발견되지 않기 위해 보호색의 깃윤영균2023년 01월 28일
[영상+] "먹고 살기 힘들다" 옥포 연밭 발구지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한 발구지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나그네새입니다. 하천이나 저수지, 물을 댄 논에서 주로 관찰되는데요, 잡식성으로 곤충과 식물의 종자를 먹는다고 합니다윤영균2023년 01월 21일
[영상+] "개개비비" 대구 가남지 개개비개개비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름 철새입니다. "개개비비"라고 운다고 해서 개개비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요, 봄과 가을에 개개비가 우는 소리를 많이 들을 수 있습니다. 하윤영균2023년 01월 14일
[영상+] "내 새끼 맞나?" 포항 죽장 긴꼬리딱새삼광조라고도 불리는 긴꼬리딱새에게는 이름 그대로 매우 긴 꼬리 깃털이 있습니다. 하지만 검고 긴 꼬리 깃털은 수컷에게만 있고 암컷의 꼬리 깃털은 짧습니다. 수컷의 날개와 꼬리는 검윤영균2023년 01월 07일
[영상+] "젓가락 대신 부리" 옥포 연밭 꺅도요깍도요는 봄철과 가을철에 우리나라를 잠시 들리는 나그네새인데요, 꼬리는 짧고 부리가 긴 것이 특징입니다. 갯벌이나 하천, 논, 연못가에서 살며 지렁이나 곤충 등을 찾아서 먹는데요,윤영균2023년 01월 01일
[영상+] "화이트 크리스마스" 신천 백로청렴한 선비의 상징인 백로는 물가에 서식하며 물고기와 개구리, 곤충 등을 잡아먹고 사는 새입니다. 대구의 도심을 가로지르는 신천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데요, 12월 22일 윤영균2022년 12월 24일
[영상+] 눈으로 뒤덮인 대구? 내린 눈은 1cm 정도일찌감치 내린 눈으로 대구의 도시 풍경이 바뀌었습니다. 아이들의 등굣길에는 부모님들의 조심스러운 손길이 함께 했고, 출근길에는 차들의 조심스러움이 더해졌습니다. 평소보다 '눈' 때석원2022년 12월 21일
[영상+] "아빠, 나 어딨게?" 우포늪 물꿩물꿩은 가끔씩만 우리나라에 모습을 드러내던 나그네새였지만 2010년 이후 거의 해마다 우포늪을 찾고 있다고 합니다. 푸른 잎으로 뒤덮인 수초를 발판 삼아 걸어 다니는 물꿩은 잎이 윤영균2022년 12월 18일
[영상+] "많이 먹고 빨리 크렴" 계정숲 붉은부리찌르레기붉은부리찌르레기는 국내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다가 2천년대 들어서야 서식과 번식이 확인되기 시작했습니다. 7월 17일 경산시 자인면 계정숲에서 새끼들에게 먹이를 먹이는 붉은부리찌르레윤영균2022년 12월 14일
[영상+] "우아함의 끝판왕" 옥연지 장다리물떼새장다리물떼새는 적은 수가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이지만 일부는 여름 철새로 한국에서 번식하기도 합니다. 가늘고 긴 검은색 부리와 함께 가늘고 긴 붉은 다리가 우아한 발레리나를 윤영균2022년 12월 11일
[영상+] "루돌프 대신 왔다" 욱수골 고라니 부부고라니는 우리나라에서는 농가에 피해를 많이 끼쳐 유해조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멸종 위기 동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고라니 중 90%가 한국에 서식한다고 하는데요윤영균2022년 12월 07일
[영상+] "나, 귀하신 몸이야" 대구 두류공원 흰배뜸부기흰배뜸부기는 중국 중남부와 동남아시아, 인도 등지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봄과 가을에 가끔만 보이는 나그네새입니다. 습지나 풀숲 등지에 서식하면서 경계심이 강해 좀처럼 모습을 드윤영균2022년 12월 04일
[영상+] "이것이 대기업의 맛?" 경주 황성공원 다람쥐다람쥐는 주로 견과류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곤충이나 자기 몸집 정도 되는 동물도 잡아먹는 잡식성입니다. 엄청난 식욕을 자랑하는데 사람을 자주 봐서 겁을 내지 않는 다람쥐들은윤영균2022년 11월 30일
[영상+] “점심은 개구리 반찬” 옥산서원 되지빠귀되지빠귀는 봄과 가을 사이 우리나라에 와서 머물렀다 떠나는 여름 철새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새인데요, 겨울이면 중국 남부나 인도차이나반도 북부로 떠난다고 합니다. 되지윤영균2022년 11월 27일
[영상+] "인디언 추장 같지?" 대구수목원 후투티여름 철새인 후투티는 뽕나무밭 주변에 주로 서식해 '오디새'라고도 불립니다. 머리와 깃털이 인디언 장식처럼 펼쳐져 있어 인디언 추장처럼 보이는 새인데요, 머리 꼭대기의 장식을 접었윤영균2022년 11월 26일
[영상+] "종자를 까먹는 새" 대구수목원 동고비우리나라 텃새인 동고비는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땅에 내려앉는 경우는 드물다고 합니다. 나무를 거꾸로 다니거나 오르내릴 수 있는데요, 여러 곤충류와 함께 종자나 열매 등 식물성윤영균2022년 11월 23일
[영상+] "미안하지만 나도 살아야···" 경산 새호리기매과에 속하는 새호리기는 다른 맹금류와는 달리 잠자리와 딱정벌레, 메뚜기와 귀뚜라미 등 곤충류를 주로 먹고 삽니다. 새홀리기라고도 부르는데요,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윤영균2022년 11월 20일
[영상+] "컴퓨터 아니에요" 대구수목원 직박구리컴퓨터 화면 안의 폴더 이름으로 더 유명한 직박구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텃새 중 하나입니다. 봄에는 꽃잎이나 나뭇잎, 여름에는 작은 벌레도 잡아먹는데 가을에는 사과나 배, 겨울에윤영균2022년 11월 19일
[영상+] 수능아침,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매년 11월 3번째 목요일이면 대한민국 대부분 사람은 온종일 간절한 마음으로 살게 됩니다. 수험생을 둔 부모님과 가족, 선생님과 친구들부터 주변에 고사장을 지나는 모든 이들까지 마석원2022년 11월 17일
[영상+] "한국의 무릉도원" 경산 반곡지경북 경산시 남산면에 있는 반곡지는 1903년에 만든 농업용 저수지입니다. 못 둑에는 2백 년~3백 년 정도 되는 왕버들 20여 그루가 줄지어 있는데요, '한국의 무릉도원'이라는 윤영균2022년 11월 16일
[영상+] "내 새끼 언제 독립하나" 대구수목원 청딱따구리청딱따구리는 우리나라 공원이나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입니다. 무른 나무나 썩은 나무에 구멍을 파서 둥지를 만들며,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한 달 정도 둥지에서 자란다고 합니다윤영균2022년 11월 13일
[영상+] "슬슬 날아볼까" 대구수목원 하늘다람쥐하늘다람쥐는 나무의 빈 구멍 속에 보금자리를 만들고 낮에는 잠을 자다가 해 질 무렵부터 활동하기 시작하는 야행성 동물입니다. 우리나라 중부·북부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천연기념물인데윤영균2022년 11월 12일
[영상+] "흑적백의 조화'" 대구수목원 오색딱따구리오색딱따구리는 딱따구리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새입니다. 검은색과 붉은색, 하얀색이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몸빛으로 치장하고 있습니다. 애벌레나 곤충뿐 아니라 호두, 옻나무 윤영균2022년 11월 09일
[영상+] "여덟 가지 매력" 대구수목원 팔색조참새목 팔색조과의 팔색조는 멸종위기에 있는 진귀한 여름새로 종 자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데요, 무지개와 같은 7색의 깃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개성과 매력을 가진 사람윤영균2022년 11월 06일
[영상+] "이제부터 시작" 대구의 단풍길대구 곳곳이 붉게, 노랗게 변해가기 시작했습니다. 가을 단풍이 물들어가기 시작한 건데요, 대구의 대표적인 단풍길 중 하나인 대구스타디움, 수성못 주변의 단풍 풍경을 10월 27일 윤영균2022년 10월 30일
[영상+] "내 새끼는 내가 지킨다" 꾀꼬리의 모정참새목 꾀꼬리과에 속하는 꾀꼬리는 여름철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철새입니다. 삼국사기 '황조가'에서도 등장할 만큼 오랜 기간 우리와 함께해 왔고 아름다운 목소리의 대명사로 윤영균2022년 10월 29일
[영상+] "지금 놓치면 1년 기다려야" 팔공산 단풍단풍은 일 최저기온이 5℃ 이하로 떨어지면 물들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최근 쌀쌀해진 기온으로 가을 단풍이 빨리 물들고 있습니다. 오색빛으로 물든 팔공산 단풍 역시 11월 1일이면 윤영균2022년 10월 28일
[영상+] "사람 구경 재밌네" 대구수목원 딱새참새목 딱새과인 딱새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입니다. 몸집은 참새와 비슷하거나 조금 큰데요, 오토바이 헬멧이나 자동차 엔진룸에 둥지를 트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사람윤영균2022년 10월 26일
[영상+] "감도 맛있네?" 대구수목원 동박새참새목 동박새과의 새인 동박새는 우리나라에서 1년 내내 지내는 텃새입니다. 추운 겨울 꿀벌이나 나비 대신 동백꽃의 꿀을 빨아먹으면서 동백꽃의 수정을 돕는 새로 알려져 있는데요, 동윤영균2022년 10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