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노를 저으세" 금호강 저어새천연기념물 제205호인 저어새는 전 세계적으로도 몇천 마리 남지 않은 멸종위기종 1급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동아시아에 한정해 분포되어 있는데 여름에는 대부분이 한반도 서해안의 무윤영균2023년 12월 01일
[영상+] "참참참! 걸렸다" 대구수목원 솔부엉이천연기념물인 솔부엉이는 곤충이나 들쥐, 작은 들새를 잡아먹는 여름 철새입니다. 목이 유연하며 혼자 생활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서식지의 파괴 등으로 도시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게 됐습윤영균2023년 11월 24일
[영상+] "조금만 더 힘내자" 2023년 수능 아침 풍경그날이 왔습니다. 몇 년 동안 준비해 온 것들을 모두 쏟아부어야 하는 그날이 왔습니다. 성인이 되는 길목의 첫 관문이면서 인생에서의 큰 전환점이 되는 그곳을 지나야 할 날이 왔습니윤영균2023년 11월 16일
[영상+] "곡예비행은 이렇게 하는 것" 창원 주남지 재두루미겨울 철새인 재두루미는 여러 가족 단위로 큰 무리로 뭉쳐 월동합니다. 강 하구와 습지, 갯벌 등에서 갯지렁이, 곤충, 곡식의 낟알, 풀뿌리 등을 먹는데요, 이름처럼 몸은 회색이지만윤영균2023년 11월 10일
[영상+] "아직도 배고프니?" 영천 호반새여름 철새인 호반새는 몸이 대체로 붉은 주황색이고 길고 두꺼운 부리도 붉은색이어서 '불새'로도 불립니다. 동굴 속이나 흙벽, 나무 기둥에 구멍을 파고 둥지를 트는데요, 개구리와 물윤영균2023년 10월 27일
[영상+] "엄마, 같이 가" 경산 자인 원앙천연기념물 제327호인 원앙은 백년해로·부부 금슬을 상징하는 오리과의 새입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화려한 장식은 번식기의 수컷 모습이고, 암컷과 번식기가 아닐 때의 수컷은 회갈색을윤영균2023년 10월 20일
[영상+] "엄마, 좀 무거워" 포항 송라 쇠제비갈매기쇠제비갈매기는 하천이나 해안, 하구의 모래섬에서 삽니다. 해안 모래땅이나 자갈밭에 땅을 파서 둥지를 만드는데요, 알은 2~3개를 낳는다고 합니다. 여름 철새인 쇠제비갈매기는 강의 윤영균2023년 10월 13일
[영상+] "10점 만점 다이빙" 구미 도개면 물총새여름 철새인 물총새는 푸른빛을 띤 보석인 '비취'에 비유해 '취조'라고 불리기도 하고, 사냥을 잘 하는 호랑이나 늑대에 비유해 '어호' '어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물총새는 물고윤영균2023년 10월 06일
[영상+] "해경의 상징이 바로 나" 금호강 흰꼬리수리꼬리가 흰색인 흰꼬리수리는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어 있는데요, 어릴 때는 꼬리가 얼룩덜룩하다가 나이가 들수록 흰색으로 변한다고 합니다. 연어와 명태 등 어류윤영균2023년 09월 29일
[영상+] "혼자서도 잘 살아요" 옥포 연밭 흰목물떼새생활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흰목물떼새는 국지적으로 번식하는 드문 텃세입니다. 자갈이 많은 하천이나 강가에 서식하는데요, 자갈 사이에 땅을 오목하게 파서 둥지를 만들어 알을 낳습니윤영균2023년 09월 22일
[영상+] "물 위를 날다" 김천 부항댐경북 김천시는 2017년부터 부항댐 일원에 80억 원을 투입해 수변 경관 사업을 했습니다. 둘레길 8km와 250m 정도 길이의 출렁다리 등을 만들었는데요, 특히 두 개의 타워를 윤영균2023년 08월 04일
[영상+] "신협은 내가 지킨다" 달서구의 거위 '쥬시'대구시 달서구에 있는 한 신협 앞에는 얼마 전부터 거위 한 마리가 하루 종일 앉아 있습니다. 사람들이 다가와도 마치 인형처럼 얌전히 앉아 있지만 가끔 신협 앞을 걷기도 하고 자신의윤영균2023년 07월 16일
[영상+] "내가 미운 오리 새끼라고?" 금호강 혹고니혹고니는 어릴 때는 몸 색깔이 회색이지만 커가면서 흰색으로 바뀝니다. 다른 형제 오리들과는 달리 몸집이 크고 회색이어서 '왕따'를 당하는 설정인 안데르센의 동화 '미운 오리 새끼'윤영균2023년 06월 24일
[영상+] "물 위를 걷다" 옥포 연밭 붉은발도요어부지리라는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조개의 속살을 파먹으려고 새 한 마리가 부리를 넣는 순간 조개가 겉껍질을 닫아버렸고, 서로 먼저 놓으라고 다투던 중 어부가 둘을 손쉽게 잡아갔다는윤영균2023년 06월 17일
[영상+] "나 건드리지 마" 대구수목원 어치까마귀과에 속하는 어치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된 비교적 흔한 텃새입니다. 하지만 예민하고 급한 성격 때문에 도시가 아닌 깊은 산속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대담하고 호기심이 많으며 사윤영균2023년 05월 21일
[영상+] "까치야, 미안" 달성공원 흰점찌르레기참새목 찌르레기과에 속하는 흰점찌르레기는 다른 무리와 있다가 우리나라에 잘못 따라온 새, 즉 '길 잃은 새'로 분류합니다. 주로 우리나라 천수만, 해남, 제주도 등지에서 관찰되는데윤영균2023년 05월 13일
[영상+] "깃털은 내 자존심" 옥포 연밭 댕기머리물떼새댕기물떼새라고도 불리는 댕기머리물떼새는 비교적 흔한 겨울 철새입니다. 뒷머리에 5~7cm 정도의 가늘고 긴 장식깃이 위로 솟아 있는데요, 이 깃털이 댕기 머리를 닮았다고 댕기머리물윤영균2023년 05월 06일
[영상+] "마음이 아프신가요?" 국립 김천 치유의 숲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산 자락에는 국립 김천 치유의 숲이 있습니다. 52ha 규모에 자작나무, 잣나무, 참나무, 노각나무, 전나무, 쪽동백, 생강나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데요윤영균2023년 05월 03일
[영상+] "내 꼬리는 빨개" 가창 부채꼬리바위딱새부채꼬리바위딱새는 몸길이가 14cm 정도 되는 비교적 작은 새입니다. 꼬리는 부채처럼 생겼고 바위가 있는 물가에서 주로 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보이는데요, 부채처럼윤영균2023년 04월 29일
[영상+] "열렬히 아무것도 안 할래" 사문진 칡부엉이올빼미과에 속하는 칡부엉이는 천연기념물 제324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산림훼손 등으로 서식지가 축소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귀깃이 긴 편이며 밤에 윤영균2023년 04월 22일
[영상+] "이름과 달라요" 옥포 연밭 백할미새백할미새는 우리나라 하천이나 저수지, 연못, 논 습지 등의 가장자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울 철새입니다. 앉아 있거나 이동할 때 꽁지를 위아래로 흔드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데윤영균2023년 04월 15일
[영상+] "해충 잡고 있어요" 대구수목원 박새참새목 박새과에 속한 박새는 우리나라 산이나 도심의 공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새입니다. 식물의 씨나 열매도 먹지만 곤충을 주로 먹는데요, 박새 한 마리가 1년 동안 십만 마리 정윤영균2023년 04월 08일
[영상+] "밤에 더 이뻐요" 김천 연화지 벚꽃경북 김천 연화지 벚꽃이 3월 25일부터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습니다. 높은 곳에서 보면 저수지를 빈틈없이 둘러싼 벚꽃의 모습이 장관을 이루는데요, 사실 연화지 벚꽃의 진가는 밤윤영균2023년 03월 31일
[영상+] "좀 빨리 왔어요" 욱수골 벚꽃'공식적으로' 대구에서는 3월 21일부터 벚꽃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평년보다 8일이나 빠른, 벚꽃 관측을 '공식적으로' 시작한 1924년 이후 두 번째로 빨랐습니다. 통상적으로 벚윤영균2023년 03월 30일
[영상+] "아이, 근지러워" 옥포 연밭 아메리카메추라기도요아메리카메추라기도요는 동남아, 오세아니아 등지에서 겨울을 난 뒤 봄에 시베리아로 가는 길에 우리나라에 잠시 들리고, 가을에는 반대 코스를 향하다 잠시 들리는 나그네새입니다. 작은 윤영균2023년 03월 25일
[영상+] "봄이 왔어요" 옻골마을 매화매화는 난초, 국화, 대나무와 함께 사군자의 하나로 꼽힙니다. 이른 봄 추위를 뚫고 가장 먼저 꽃을 피우다 보니 선비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했던 겁니다. 조선 중기 학자 최동집 선생윤영균2023년 03월 18일
[영상+] "낮이라도 괜찮아" 대구 도원지 수달2022년 12월 초, 대구시 달서구 도원지에서 낚싯바늘을 삼켜 죽은 수달이 발견됐습니다. 이곳은 낚시가 금지된 곳이었습니다. 겨울이 지나면서 도원지에 어미와 새끼로 보이는 수달 윤영균2023년 03월 04일
[영상+] "내 눈을 바라봐" 옥포 연밭 왕눈물떼새도요목에 속하는 왕눈물떼새는 봄과 가을에 비교적 흔하게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입니다. 갯벌 속에 있는 갯지렁이나 곤충 등을 먹고 산다고 합니다. 이름처럼 눈이 큰 게 특징인데윤영균2023년 02월 25일
[영상+] "몸 좀 풀어볼까" 망월지 수달천연기념물 제330호,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수달은 대구 신천, 금호강, 동화천, 팔거천 등을 중심으로 서식하고 있는데요, 전국 최대 두꺼비 산란지로 알려진 대구 망월지에서도 윤영균2023년 02월 19일
[영상+] "스웩이 뭔지 아니?" 안심습지 큰고니천연기념물 제201-2호인 큰고니는 추위를 피해 우리나라 동해안, 남해안 등에서 겨울을 난 뒤 동북부 시베리아 등지로 떠나는 겨울 철새입니다. 호수와 늪, 하천, 해안 등에서 무리윤영균2023년 02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