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나 건드리지 마" 대구수목원 어치까마귀과에 속하는 어치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된 비교적 흔한 텃새입니다. 하지만 예민하고 급한 성격 때문에 도시가 아닌 깊은 산속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대담하고 호기심이 많으며 사윤영균2023년 05월 21일
[영상+] "까치야, 미안" 달성공원 흰점찌르레기참새목 찌르레기과에 속하는 흰점찌르레기는 다른 무리와 있다가 우리나라에 잘못 따라온 새, 즉 '길 잃은 새'로 분류합니다. 주로 우리나라 천수만, 해남, 제주도 등지에서 관찰되는데윤영균2023년 05월 13일
[영상+] "깃털은 내 자존심" 옥포 연밭 댕기머리물떼새댕기물떼새라고도 불리는 댕기머리물떼새는 비교적 흔한 겨울 철새입니다. 뒷머리에 5~7cm 정도의 가늘고 긴 장식깃이 위로 솟아 있는데요, 이 깃털이 댕기 머리를 닮았다고 댕기머리물윤영균2023년 05월 06일
[영상+] "마음이 아프신가요?" 국립 김천 치유의 숲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산 자락에는 국립 김천 치유의 숲이 있습니다. 52ha 규모에 자작나무, 잣나무, 참나무, 노각나무, 전나무, 쪽동백, 생강나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데요윤영균2023년 05월 03일
[영상+] "내 꼬리는 빨개" 가창 부채꼬리바위딱새부채꼬리바위딱새는 몸길이가 14cm 정도 되는 비교적 작은 새입니다. 꼬리는 부채처럼 생겼고 바위가 있는 물가에서 주로 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보이는데요, 부채처럼윤영균2023년 04월 29일
[영상+] "열렬히 아무것도 안 할래" 사문진 칡부엉이올빼미과에 속하는 칡부엉이는 천연기념물 제324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산림훼손 등으로 서식지가 축소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귀깃이 긴 편이며 밤에 윤영균2023년 04월 22일
[영상+] "이름과 달라요" 옥포 연밭 백할미새백할미새는 우리나라 하천이나 저수지, 연못, 논 습지 등의 가장자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울 철새입니다. 앉아 있거나 이동할 때 꽁지를 위아래로 흔드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데윤영균2023년 04월 15일
[영상+] "해충 잡고 있어요" 대구수목원 박새참새목 박새과에 속한 박새는 우리나라 산이나 도심의 공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새입니다. 식물의 씨나 열매도 먹지만 곤충을 주로 먹는데요, 박새 한 마리가 1년 동안 십만 마리 정윤영균2023년 04월 08일
[영상+] "밤에 더 이뻐요" 김천 연화지 벚꽃경북 김천 연화지 벚꽃이 3월 25일부터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습니다. 높은 곳에서 보면 저수지를 빈틈없이 둘러싼 벚꽃의 모습이 장관을 이루는데요, 사실 연화지 벚꽃의 진가는 밤윤영균2023년 03월 31일
[영상+] "좀 빨리 왔어요" 욱수골 벚꽃'공식적으로' 대구에서는 3월 21일부터 벚꽃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평년보다 8일이나 빠른, 벚꽃 관측을 '공식적으로' 시작한 1924년 이후 두 번째로 빨랐습니다. 통상적으로 벚윤영균2023년 03월 30일
[영상+] "아이, 근지러워" 옥포 연밭 아메리카메추라기도요아메리카메추라기도요는 동남아, 오세아니아 등지에서 겨울을 난 뒤 봄에 시베리아로 가는 길에 우리나라에 잠시 들리고, 가을에는 반대 코스를 향하다 잠시 들리는 나그네새입니다. 작은 윤영균2023년 03월 25일
[영상+] "봄이 왔어요" 옻골마을 매화매화는 난초, 국화, 대나무와 함께 사군자의 하나로 꼽힙니다. 이른 봄 추위를 뚫고 가장 먼저 꽃을 피우다 보니 선비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했던 겁니다. 조선 중기 학자 최동집 선생윤영균2023년 03월 18일
[영상+] "낮이라도 괜찮아" 대구 도원지 수달2022년 12월 초, 대구시 달서구 도원지에서 낚싯바늘을 삼켜 죽은 수달이 발견됐습니다. 이곳은 낚시가 금지된 곳이었습니다. 겨울이 지나면서 도원지에 어미와 새끼로 보이는 수달 윤영균2023년 03월 04일
[영상+] "내 눈을 바라봐" 옥포 연밭 왕눈물떼새도요목에 속하는 왕눈물떼새는 봄과 가을에 비교적 흔하게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입니다. 갯벌 속에 있는 갯지렁이나 곤충 등을 먹고 산다고 합니다. 이름처럼 눈이 큰 게 특징인데윤영균2023년 02월 25일
[영상+] "몸 좀 풀어볼까" 망월지 수달천연기념물 제330호,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수달은 대구 신천, 금호강, 동화천, 팔거천 등을 중심으로 서식하고 있는데요, 전국 최대 두꺼비 산란지로 알려진 대구 망월지에서도 윤영균2023년 02월 19일
[영상+] "스웩이 뭔지 아니?" 안심습지 큰고니천연기념물 제201-2호인 큰고니는 추위를 피해 우리나라 동해안, 남해안 등에서 겨울을 난 뒤 동북부 시베리아 등지로 떠나는 겨울 철새입니다. 호수와 늪, 하천, 해안 등에서 무리윤영균2023년 02월 11일
[영상+] "보 수문 열리면 다시 올게" 고령 회천 원앙부부 금실의 대명사인 원앙은 천연기념물 제327호에 지정되어 있는데요, 씨나 나무 열매, 곤충류와 작은 민물고기, 수생식물의 뿌리 등을 먹고 삽니다. 2022년 12월 합천창녕보가윤영균2023년 02월 04일
[영상+] "머리 좀 밟지 마" 포항 바다직박구리바다직박구리는 주로 바닷가 바위 절벽에 살면서 암벽의 갈라진 틈에 둥지를 만들어 알을 낳습니다. 수컷은 화려한 깃털을 자랑하지만 암컷은 적에게 쉽게 발견되지 않기 위해 보호색의 깃윤영균2023년 01월 28일
[영상+] "먹고 살기 힘들다" 옥포 연밭 발구지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한 발구지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나그네새입니다. 하천이나 저수지, 물을 댄 논에서 주로 관찰되는데요, 잡식성으로 곤충과 식물의 종자를 먹는다고 합니다윤영균2023년 01월 21일
[영상+] "개개비비" 대구 가남지 개개비개개비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름 철새입니다. "개개비비"라고 운다고 해서 개개비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요, 봄과 가을에 개개비가 우는 소리를 많이 들을 수 있습니다. 하윤영균2023년 01월 14일
[영상+] "내 새끼 맞나?" 포항 죽장 긴꼬리딱새삼광조라고도 불리는 긴꼬리딱새에게는 이름 그대로 매우 긴 꼬리 깃털이 있습니다. 하지만 검고 긴 꼬리 깃털은 수컷에게만 있고 암컷의 꼬리 깃털은 짧습니다. 수컷의 날개와 꼬리는 검윤영균2023년 01월 07일
[영상+] "젓가락 대신 부리" 옥포 연밭 꺅도요깍도요는 봄철과 가을철에 우리나라를 잠시 들리는 나그네새인데요, 꼬리는 짧고 부리가 긴 것이 특징입니다. 갯벌이나 하천, 논, 연못가에서 살며 지렁이나 곤충 등을 찾아서 먹는데요,윤영균2023년 01월 01일
[영상+] "화이트 크리스마스" 신천 백로청렴한 선비의 상징인 백로는 물가에 서식하며 물고기와 개구리, 곤충 등을 잡아먹고 사는 새입니다. 대구의 도심을 가로지르는 신천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데요, 12월 22일 윤영균2022년 12월 24일
[영상+] 눈으로 뒤덮인 대구? 내린 눈은 1cm 정도일찌감치 내린 눈으로 대구의 도시 풍경이 바뀌었습니다. 아이들의 등굣길에는 부모님들의 조심스러운 손길이 함께 했고, 출근길에는 차들의 조심스러움이 더해졌습니다. 평소보다 '눈' 때석원2022년 12월 21일
[영상+] "아빠, 나 어딨게?" 우포늪 물꿩물꿩은 가끔씩만 우리나라에 모습을 드러내던 나그네새였지만 2010년 이후 거의 해마다 우포늪을 찾고 있다고 합니다. 푸른 잎으로 뒤덮인 수초를 발판 삼아 걸어 다니는 물꿩은 잎이 윤영균2022년 12월 18일
[영상+] "많이 먹고 빨리 크렴" 계정숲 붉은부리찌르레기붉은부리찌르레기는 국내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다가 2천년대 들어서야 서식과 번식이 확인되기 시작했습니다. 7월 17일 경산시 자인면 계정숲에서 새끼들에게 먹이를 먹이는 붉은부리찌르레윤영균2022년 12월 14일
[영상+] "우아함의 끝판왕" 옥연지 장다리물떼새장다리물떼새는 적은 수가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이지만 일부는 여름 철새로 한국에서 번식하기도 합니다. 가늘고 긴 검은색 부리와 함께 가늘고 긴 붉은 다리가 우아한 발레리나를 윤영균2022년 12월 11일
[영상+] "루돌프 대신 왔다" 욱수골 고라니 부부고라니는 우리나라에서는 농가에 피해를 많이 끼쳐 유해조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멸종 위기 동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고라니 중 90%가 한국에 서식한다고 하는데요윤영균2022년 12월 07일
[영상+] "나, 귀하신 몸이야" 대구 두류공원 흰배뜸부기흰배뜸부기는 중국 중남부와 동남아시아, 인도 등지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봄과 가을에 가끔만 보이는 나그네새입니다. 습지나 풀숲 등지에 서식하면서 경계심이 강해 좀처럼 모습을 드윤영균2022년 12월 04일
[영상+] "이것이 대기업의 맛?" 경주 황성공원 다람쥐다람쥐는 주로 견과류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곤충이나 자기 몸집 정도 되는 동물도 잡아먹는 잡식성입니다. 엄청난 식욕을 자랑하는데 사람을 자주 봐서 겁을 내지 않는 다람쥐들은윤영균2022년 11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