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MBC NEWS대구MBC NEWSDESK대구MBC NEWSDESK, TODAY 리포트 안동‧포항MBC NEWS

혈세 764억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아직 '미성숙'?

◀앵커▶
3년 전 영양군에서 문을 연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다음주면 개원한 지 꼭 3년이 되는데요.

국가 차원의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겠다며 환경부가 야심차게 출범시켰지만, 지금의 상황을 보면, 실현 가능한 목표인지 의문입니다. 

김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서현 기자▶
3년 전 영양군에서 문을 연 국립생태원 산하 멸종위기종복원센터.

국가 차원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을 보존하고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018년 설립 당시 환경부의 목표는 "멸종위기종 보전정책의 핵심기관"으로, 각 기관에 분산돼 있던 종 복원사업을 센터에 통합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설립 3년이 다 돼가는데도 당초 목표와는 거리가 멉니다.

지난해 복원센터의 멸종위기종 22종에 대한 복원사업비는 모두 14억 6천 6백만 원에 불과합니다.

같은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반달가슴곰과 산양, 여우 3종의 복원사업에 54억 5천 4백만 원의 예산을 받아 3배나 많습니다.

센터 설립 이후 3년치 자료를 봐도 국립공원공단 예산이 더 많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20년까지만 반달가슴곰 등 주요 종 복원사업을 현행과 같이 수행하고, 그후에는 서식지와 현장 관리 기능으로 전환"하겠다는 환경부의 애초 계획과도 다릅니다.

종 복원사업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게 반달가슴곰·산양·여우 사업인데, 종 복원사업의 핵심기관인 센터가 아니라 여전히 다른 기관이 맡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신원철/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장
"이제 생긴 지 3년뿐이 안됐기 때문에 종합적인 콘트롤타워로서 역할을 하기 위한 예산이 필요한데 저희가 점차 확대해나가는 걸로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센터가 해당 사업을 할 수 있을 만큼 아직 역량이 갖춰지지 않아 시기상조라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국립공원공단의 기능은 법적으로도 국립공원 구역 내로 국한돼 있기 때문에, 반달가슴곰처럼 개체 수가 늘면 종 보존과 서식지 관리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인터뷰▶배제선/녹색연합 자연생태팀장
"반달가슴곰 같은 경우는 이미 개체가 증식되어서 지리산 국립공원 바깥으로 이미 많은 개체가 그 서식지를 이동하고 있는데요. (환경부가) 이에 대한 대책이 없을 뿐더러..."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에 있어 컨트롤타워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인터뷰▶이항 교수/서울대 수의학과
"(멸종위기종 복원 사업은) 전국의 멸종위기종 서식 실태를 파악하고 서식지를 어떻게 하면 보존할 것인지 그게 주가 돼야 되거든요. 그런 전문성을 가진 콘트롤 타워가 없으면 이 사업은 계속 표류하게 돼 있어요."

국가예산 764억 원을 들인 멸종위기종복원센터, 허울뿐인 기관으로 남지 않으려면 설립 목적에 맞게 예산과 인력을 확충해야 합니다.

MBC뉴스 김서현입니다. (영상취재 원종락, C.G 이한나)

김서현

추천 뉴스

최신뉴스